증권사에서 빚을 내 투자하는 '빚투' 거래 비중을 뜻하는 신용잔고율이 10%를 넘는 종목이 올해 부쩍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신용잔고율이 10% 이상인 종목 수는 21개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9개에서 급증한 것. 신용잔고율이 5% 이상인 종목 수도 269개였다.
신용잔고율은 신용거래 매수량을 총주식 수로 나눈 값이다. 신용잔고율이 높을수록 상장된 주식 중 신용으로 산 주식이 많다는 뜻이다.
신용잔고율 10% 이상 전체 종목 가운데 13개가, 5% 이상 전체 종목 중에서는 228개가 코스닥 종목이었다. 종목별 신용잔고율을 보면 영풍제지 신용잔고율이 15.99%로 가장 높았고 다올투자증권(14.78%), 우리넷(12.68%), 선광(12.59%), 세방(12.17%), 빅텍(11.9%), 제주반도체(11.59%) 등으로 나타났다.
신용잔고율이 높은 종목은 수급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통상 주가 변동성이 크다. 지난 24일 외국계 증권사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을 통해 매도 물량이 집중되며 무더기 하한가를 기록한 종목들도 신용잔고율이 평균보다 높았다.
삼천리(10.65%), 서울가스(7.64%), 대성홀딩스(6.79%) 등 모두 신용잔고율이 5%를 넘어섰다. 이들 종목의 주가는 투자심리가 위축된 개인투자자가 던진 투매 물량까지 겹쳐 연이어 추락, 변동성이 커지는 양상이었다.
최근 신용거래가 해당 종목의 업황이나 성장성 등 기업의 본질적 가치를 고려하기보다 수급상 단기 시세차익을 노리고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증권가에선 '빚투' 경고음이 시장 전체의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지난해 말 16조5천억원 수준이었으나 지난 24일 기준 20조4천320억원까지 늘어났다. 이중 코스닥시장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0조5천600억원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