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21일 '후쿠시마 시찰단' 21명 파견… "日 오염수 정화 직접 확인"

시찰단 파견 계획 등 발표… "日, 피폭 우려 일부 시설 빼고 우리 측 요구 거의 다 수용"

박구연 국무조정실 1차장(왼쪽)과 후쿠시마 원전 전문가 현장 시찰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안전위 위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전문가 현장시찰단 구성과 현지 일정 등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구연 국무조정실 1차장(왼쪽)과 후쿠시마 원전 전문가 현장 시찰단장인 유국희 원자력안전위 위원장이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전문가 현장시찰단 구성과 현지 일정 등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오염수 처리 과정을 점검하는 한국 정부 시찰단이 오는 21∼26일 5박6일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한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1차장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시찰단 파견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박 차장은 "시찰 활동을 통해 일본의 오염수 정화·방류시설 전반의 운영 상황과 방사성 물질 분석역량 등을 직접 확인하고 우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더 필요한 조치를 도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시찰단 단장을 맡았다. 이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원전·방사선 전문가 19명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의 해양환경 방사능 전문가 1명도 참여해 시찰단은 총 21명으로 구성됐다.

박 차장은 "시찰단은 이미 오염수 방류 관련 조사를 해온 실무진 위주로 구성했다"며 "앞으로도 이어질 과학적·객관적 검증에서 전문성과 지속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일본 측에 시찰단 명단을 통보했으나 언론에는 공개하지 않았다.

박 차장은 또 "시찰단 점검 활동을 다양한 시각에서 지원·평가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10명 내외의 자문그룹을 별도로 구성해 점검의 완결성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간 전문가는 공식 시찰단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수시로 시찰단에 확인 요구와 교차 검증을 진행한다는 게 박 차장의 설명이다.

박 차장은 "일본은 방사능 피폭 우려가 있는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는 우리 측의 요구를 거의 다 수용했다"며 "시찰단이 현장에 가서 문제가 있다면 당연히 제기할 것이고 시정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입·출국일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시찰 일정은 22∼25일 나흘간 이뤄진다.

시찰단은 22일에는 도쿄전력, 경산성,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 등 관계기관과 회의·질의응답을 진행한다.

23∼24일 이틀간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관리 실태를 확인할 예정이다. 25일에는 현장점검 내용을 바탕으로 심층 기술 회의와 질의응답이 진행된다.

유 원안위원장은 시찰단 점검 계획과 관련 "오염수가 발생해서, 정화돼서, 정류돼서, 모여서, 희석돼서, 바다로 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전반적으로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가장 집중적이고 중점적으로 보려고 계획하고 있다"며 "ALPS가 방사능 핵종을 제거하는 절차, 현장 설비, 자료 등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게 요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안위는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을 밝힌 2021년 8월부터 진행해 온 기존 분석 내용과 이번 시찰 결과를 종합해 오염수 방류가 안전한지를 판단하고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유 위원장은 밝혔다.

지난 7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는 서울에서 한 정상회담에서 시찰단 파견에 합의했다.

한국과 일본은 12일 한국에서, 17일은 화상회의로 구체적인 방문 일정과 시찰 범위 등을 협의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