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데스크칼럼] 균형발전의 선례(善例)

최두성 경북부장
최두성 경북부장

얼마 전 '김포골드라인'이 수도권 언론에서 이슈로 다뤄진 적이 있다. 김포시와 서울 강서구를 잇는 유일한 지하철 노선의 혼잡도가 심각해 '골병라인'이 됐고 대책이 절실하다는 게 골자였다.

국토교통부 장관, 여야 정치인이 현장을 찾으며 버스 증편, 버스전용차로 조기 개통 등 단기부터 지하철 5호선 연장 노선 조기 확정,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신속 개통 등 중·장기 대책들이 쏟아져 나왔다. 언론에선 제2, 제3의 골드라인 사태를 막기 위한 수도권 광역 대중교통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열을 올렸다.

지난 주말, 경기도 인구가 1천400만 명을 넘어섰다는 뉴스가 나왔다. 1천만 명을 넘긴 지 20년 4개월 만에, 100만 명 느는 데 6년 8개월이 걸렸단다. 어림잡아 10년을 좀 넘겨 대구(236만여 명)만큼의 인구가 늘어난 것이다.

경기도엔 100만 명이 넘어, 일반 시와 차별화한 법적 지위를 부여받고 행정·재정 자치 권한이 큰 특례시만 3곳(고양, 수원, 용인)에 이른다.

삼성이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고자 300조 원을 투자하는 용인을 보자. 삼성기흥사업장이 들어오고 택지 개발이 이뤄지며 10만 명대에 머물던 인구가 2000년대 38만 명으로, 삼성디스플레이·삼성SDI·LIG넥스원 등 굵직한 기업의 본사가 자리하면서 2017년엔 100만 명을 넘겼다.

정부의 균형발전 정책, 숱한 정책가들의 지방 활성화 외침에도 '서울' 인접 권역의 매력에 기업이 몰려들고 투자가 봇물을 이뤄 경기도는 인구 유입→인프라 확충→기업 투자→인구 유입 사이클을 그리며 거대해지고 있다.

대조적으로 1960년대만 해도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많았던 경북은 1981년 대구와 분리 이후 인구가 줄기 시작했고, 1993년(287만6천288명) 정점을 찍은 후 줄곧 하락세다. 올해 4월 기준 259만2천205명, '소멸위험지역' 시·군을 가장 많이 보유한 광역지자체로 전락했다. 자연 감소분을 빼면 주원인은 순유출. 일자리와 직결됐다.

경북도와 지자체는 이를 극복하고자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철강'과 '전자'로 대표된 경북 1·2도시 포항과 구미는 2차전지로, 반도체로 산업의 체질을 전환하며 경쟁력을 복원 중이다.

포항은 2차전지 소재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있는 대기업이 두 곳이나 자리 잡고 있다. 배터리 관련 기업의 투자가 잇따르면서 2차전지 소재산업의 글로벌 공급기지로 도약 중이다. 구미 역시 반도체 관련 앵커기업 8개사를 비롯해 관련 기업 344개사가 입주, 반도체산업 도시로 옷을 갈아입고 있다.

기반시설, 기업의 집적화, 지역 주력산업과의 연계성, 인재 확보까지 '원스톱' 체제를 구축한 두 곳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도전장을 냈다. 심사·평가 기준이 크게 '클러스터 경쟁력 강화 효과' '인프라·인력 성장 기반' '지역 산업 동반 성장'이니 감점 요인은 없어 보인다.

제철과 전자산업의 중심 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대한민국을 선진국으로 만든 경험은 정부가 바라는 국가경쟁력을 높일 최적지라는 심리적 조건도 만족시킨다.

평가 세부 기준 항목 중엔 '지역 균형발전'도 있어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열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목표와도 부합한다.

특화단지 포항, 구미 지정은 균형발전의 1호 모범 답안이자 선례(善例)임이 분명해 보인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