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중국 장쑤성 쑤저우 쿤산시에 전기차 수요 확대 대응을 위해 기가스틸 전문 복합가공 공장을 준공했다.
25일 포스코에 따르면 이날 중국 현지 가공센터인 POSCO-CSPC(이하 CSPC)에서 포스코차이나 송용삼 대표법인장, 중국통합가공센터 김봉철 법인장, 쿤산시 이휘 상무위원 및 왕준 경제개발국장, 심원 이강섭 대표, 포스오스템 김화진 통합법인장 등 9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문 복합가공 공장 준공식을 열었다.
CSPC의 새로운 기가스틸 복합가공 공장은 1차로 소재를 절단한 뒤, 프레스 공정을 통해 자동차 부품의 반제품까지 생산·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포스코의 이번 공장 준공은 자동차 생산량 세계 1위인 중국 시장의 리오프닝과 전기차 중심으로 전환하는 자동차 산업에 대응해 앞으로 친환경 전기차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포스코는 현재 전 세계 26개 거점에 해외 가공센터를 운영 중이다.
지난 2003년에 설립된 CSPC는 누적 판매량이 897만t에 달하는 포스코 최대 규모의 자동차용 강판 전문 가공센터로, 전기차 제작 회사가 밀집해 있는 중국 화동지역에 자리하고 있다.
포스코는 이번 투자로 연산 13만5천t 규모의 기가스틸 전문 슬리터(코일을 길이 방향으로 전달하는 설비)1기와 1천600t급 프레스 1기를 추가적으로 갖추게 됐다.
특히 CSPC는 이번 전문설비 도입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인 기가스틸의 판매 확대가 가능해져 전기차 시장 공략이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CSPC는 화동 지역 내 글로벌 대형 자동차 부품사와 공동으로 신규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라며 "CSPC 판매량 중 6% 수준인 기가스틸을 오는 2027년까지 2배 이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기가스틸은 1㎟당 100㎏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초고강도강으로, 우수한 인장강도와 함께 성형성도 갖춘 차세대 강판이다. 자동차용 강판 소재로 기가스틸을 쓰면 알루미늄 등 대체 소재에 비해 경제성·경량화·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특히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경량화가 요구되는 전기차 제작에는 필수 소재로 인식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