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 대통령, 이동관 방통위원장 지명…'공영방송 개혁' 추진 가속도

정보·통신 국정과제 추진에 주력…자녀 학폭 논란에도 적임자 판단
공영방송 개혁·가짜뉴스와의 전쟁도 선포
내달 인사청문회 거쳐 공식 취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로 지명된 이동관 대통령 대외협력특보가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인사말을 마친 뒤 밝은 표정으로 기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방송통신위원장 후보로 지명된 이동관 대통령 대외협력특보가 2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에서 인사말을 마친 뒤 밝은 표정으로 기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신임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에 이동관 대통령 대외협력특보를 지명했다. 이 후보자 지명으로 공영방송 개혁 등 정보·통신 분야 국정과제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파행 운영을 거듭하던 방통위가 정상 궤도에 들어설지도 관심이 모인다. 김대기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언론 분야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과 다양한 인간관계 리더십을 바탕으로 윤석열 정부의 방송·통신 국정 과제를 추진할 적임자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동아일보 기자 출신으로 이명박 정부 청와대에서 홍보수석비서관과 대통령 언론특보를 지냈다. 지난 대선 당시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미디어소통특별위원장을 역임했고, 윤 대통령 당선 뒤에는 대통령 대외협력특보를 맡았다.

이번 인선은 지난 5월 정치권을 중심으로 내정설이 제기된 지 두 달여 만에 이뤄졌다. '자녀 학폭' 논란 등에도 방통위원장 공석 사태를 장기화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자가 이끄는 6기 방통위가 본격 출범하면 정보·통신 분야 국정과제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방통위는 지난해 10월부터 2020년 TV조선 재승인심사 점수 변경 문제로 한상혁 전 위원장 등이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사실상 식물부처로 전락했다.

이 후보자는 최근 TV 수신료 분리징수 문제로 촉발된 공영방송 개혁작업에 팔을 걷어붙일 것으로 관측된다. 그는 이날 "대한민국에도 BBC나 NHK 같은 국제적으로 신뢰와 인정을 받는 공영방송이 있어야 한다"고 언급해 KBS·MBC 등 공영방송 개혁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공영방송 이사회 구도 재편, 가짜뉴스와의 전쟁 등 미디어 생태계 복원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포털 '알고리즘투명성위원회'와 '뉴스제휴평가위원회' 법제화, K-미디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규제 혁신 등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6기 방통위 구성에도 관심이 모인다. 방통위는 위원장 포함 5인의 방통위원으로 구성되는데 현재는 김효재·김현·이상인 위원 3인 체제로 운영 중이다. 다음 달 23일로 김효재 직무대행과 김현 위원의 임기가 만료되면서 두 위원의 후임 및 안형환 전 부위원장의 후임을 채워야 하는 상황이다.

임기 만료로 퇴임한 안 전 부위원장 후임으로는 국회에서는 야당 주도로 최민희 전 의원을 추천했으나 윤 대통령은 임명하지 않고 있다. 야당이 최 전 의원 임명 지연을 이유로 후임 추천을 미룰 경우 이 후보자가 임명되더라도 이상인 위원과 2인 체제가 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후보자는 다음 달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공식 취임할 것으로 전망된다. 청문회 통과 여부와 관계없이 대통령이 방통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늦어도 9월에 6기 방통위가 출범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