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노인을 비하하는 뉘앙스의 말로 논란을 일으킨 김은경 혁신위원장과 이에 동조한 양이원영 의원에 대해 "국민들께 '그런 뜻이 아니었다. 그리고 죄송하다'는 말씀 드리면 된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2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취지가 노인 비하나 국민들에 대한 모욕이 아니었을 거라 생각한다. 왜곡되게 전달되고 본인 취지와 다르게 전달된 데 대해서 보다 명징하게 사과하면 될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입장을 의원들에게도 보냈더라. '발언의 취지는 그런 뜻이 아니다'라고 하는 말, 그리고 이렇게 보도가 되고 있는 게 일종의 진영 논리에 의한 공격이 많아서 그런 것 같다"고도 했다.
그는 "어쨌든 본인(김 위원장)도 인정하는 것처럼 마음에 상처 입은 분들이 많으실 거고 국민적인 여러 오해와 논란을 불러일으킨 일인 만큼 본인도 유감의 표시를 했지만 저는 이 부분에 대해서 보다 명징하게 사과하시는 게 맞을 것 같다"면서 "저도 민주당의 구성원으로서 이런 일이 논란이 벌어진 것과 관련해서 매우 죄송하다는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의원은 "혁신위는 특히나 이런 논란이 자꾸 벌어지는 게 혁신의 내용들이 국민들에게 잘 전달·제시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혁신위 구성원들의 발언이 더 논란이 되는 안타까운 상황"이라며 "그래서 본연의 임무에 보다 더 충실하셨으면 좋겠다. 성과가 있었으면 좋겠다 하는 기대를 해본다"고 덧붙였다.
앞서 김은경 혁신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청년좌담회에서 과거 아들과 대화를 소개하며 "자기가 생각할 때는 평균 연령을 얼마라고 봤을 때 자기 나이로부터 여명까지, 엄마 나이로(부터) 여명까지로 해 비례적으로 투표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되게 합리적이죠.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1대 1로 표결해야 하나"라고 언급했다.
이 발언을 두고 국민의힘은 '노인 폄하 발언'이라고 맹비난하고 나섰고, 민주당 당내에서도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일었다.
이어 전날에는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김 위원장 발언에 "맞는 얘기"라며 맞장구쳤다가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제가 쓴 표현으로 오해를 불러일으켜 죄송하다. 나이많은 이들의 정치참여를 무시하거나 비하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는데 잘못 표현했다. 청년층의 정치 참여의 필요성과 함께 저 자신을 생각하며 장년층과 노년층의 정치 참여 책임에 대해 얘기하려고 했다"며 발언 취지를 바로잡았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
권영세 "美 민감국가 지정, 이재명 국정장악 탓…탄핵 악용 막아야"
전한길 "이재명, '민감국가 지정' 핵무장론 탓? '가짜뉴스'…반박해 보라" [뉴스캐비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