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촉발지진 6주년…유례없는 피해 입은 포항, 현재 상황은

도시특별재생 등 상처 서서히 회복
고장난 심부지진계, 지진안전센터 건립 난항 등 안전관리는 아직 미비

지난 2021년 10월 19일 오전 포항 북구 흥해실내체육관의 지진 피해 임시구호시설에 대한 철거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17년 11월 15일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발생한 지 4년만에 이곳에 머물러 온 이재민들은 구호소 생활을 마무리 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지난 2021년 10월 19일 오전 포항 북구 흥해실내체육관의 지진 피해 임시구호시설에 대한 철거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17년 11월 15일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발생한 지 4년만에 이곳에 머물러 온 이재민들은 구호소 생활을 마무리 했다. 우태욱 기자 woo@imaeil.com

지난 2017년 11월 15일 오후 2시 29분. 포항시 북구 흥해읍에서 출발한 진도 5.4의 땅울림은 몇 초만에 포항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굉음과 함께 찾아온 흔들림에 상가 진열대의 물건들은 모두 떨어져 나갔고, 터지듯 부서진 유리창은 인근 행인들을 덮쳤다.

그럼에도 지진은 한번이 아니었다. 이듬해 말까지 이어진 여진 역시 진도 4.6까지 기록하며 결코 가볍지 않았다.

포항시가 엮은 지진백서를 살펴보면 약 1년간 이어진 지진으로 포항에서는 1명의 사망자와 117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언제 무너질지 모를 집에서 쫓겨나 구호소 생활을 해야했던 이재민은 한때 무려 1천797명을 기록했다.

직·간접 피해금액도 3천323억원(한국은행 포항본부 자료)으로 집계되며 한반도 역사상 가장 큰 지진 피해를 남겼다.

지난 2017년 촉발지진 발생 이후 포항시 북구 흥해읍 한미장관맨션. 사람의 접근을 막는 시설물들과 안정망이 위태롭게 보인다. 포항시 제공
지난 2017년 촉발지진 발생 이후 포항시 북구 흥해읍 한미장관맨션. 사람의 접근을 막는 시설물들과 안정망이 위태롭게 보인다. 포항시 제공

정부합동조사 결과 해당 지진은 자연재해가 아니라 인재로 판명났다. 2012년 당시 지식경제부의 발주로 지어지고 있던 포항지열발전소의 지하 물주입 과정으로 촉발된 인공지진이란 의미였다.

반면, 이들에게 지급된 정부의 지진피해구제지원금은 그리 많지 않았다. 총 10만6천8건의 피해건수에 총 4천918억원이 지급됐다. 1건당 평균 464만원이다.

유례없는 강진을 처음 겪어온 시민들은 아예 넋이 뺏겼다. 어디로 피해야하는지, 무엇을 대비해야하는지 알지 못했다. 약 1년간 이어진 지진은 사람들의 마음에 불안증과 공포를 남기기에 차고 넘쳤다.

지진 발생 2년 후 건립된 포항지진트라우마센터에는 지금까지 3천여명의 방문자가 심리상담을 받았다.

포항지진트라우마센터 관계자는 "지진을 겪었던 사람들 모두 조그마한 울림에도 금새 깜짝 놀라며 진정을 하기 힘들어 한다. 이제는 조금씩 극복하고 있지만, 완전히 예전으로 돌아가기는 쉽지 않은 일"이라고 했다.

다행히 6년이 흐른 지금. 진앙지였던 포항시 북구 흥해읍을 중심으로 각종 재생사업이 진행되며 최소한 겉으로나마 서서히 상처가 봉합되는 모습이다.

총 2천895억원 가량이 투입되는 흥해재생사업은 무너진 빌라를 새로 짓고, 이재민들에게 임대주택을 나눠주며, 폐허로 변한 공터를 재해대비소로 짓는 사업이 골자이다.

대표적인 것이 지난달 31일 개관한 흥해복합커뮤니티센터이다. 흥해읍민들의 스포츠·문화쉼터로 지어진 이곳은 원래 2017년 지진으로 무너졌던 대응파크맨션이 있던 부지이다.

이처럼 시민들의 상처는 봉합되고 있지만, 촉발지진 이후 2차 피해를 대비하는 감시시스템은 오히려 갈피를 못잡으며 뒷걸음치는 모습이다.

촉발지진 진앙지였던 포항지열발전소의 지하 관측 및 안정화 작업을 위해 추진했던 '포항지진안전센터(가칭)'은 운영 주체 선정을 하지 못해 6년이 지난 지금까지 첫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

추가 지진 여부를 감시하기 위해 지난해 5월 설치됐던 심부지진계 또한 1년도 되지 않아 모두 고장을 일으켜 지난 9월 결국 철거됐다.

양만재 포항11·15지진지열발전공동연구단장은 "충격을 받았던 시민들의 재활과 재생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조사하고 감시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며 "왜 항상 정부는 사고가 일어난 그때 반짝 관심을 보이다 점차 소홀해지는지 모르겠다. 이러한 무사안일주의가 제2, 제3의 피해를 가져오는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