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주 7년 만에 또 지진, 긴장감을 늦출 수 없는 이유

경북 경주에서 규모 4.0의 지진이 발생했다. 올해 발생한 지진 가운데 두 번째 규모이며, 내륙에서 발생한 지진 중에는 가장 강했다. 이번 지진이 발생한 곳은 2016년 역대 최대 규모인 5.8의 지진이 일어난 지점(직선 21㎞ 거리)과 가깝다. 다행히 인명·재산 피해 신고는 없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모든 가동 원전에 영향이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동남권의 잦은 지진은 결코 가볍게 여길 사안이 아니다.

일부 시민들이 새벽에 잠을 깨운 재난문자에 불만을 제기했다. 기상청이 전국에 재난문자를 보낸 것은 지진 규모가 컸기 때문이다. 그런데 SNS(사회적 연결망 서비스)와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사이렌 소리 때문에 전 국민이 5시에 기상했다" "재난문자 소리에 놀라 진정이 안 된다" "경주에서 먼 곳까지 알림 보내는 게 맞나" 등의 글이 게시됐다. 위험천만한 생각이다. 이번 재난문자는 매뉴얼에 따른 것이다. 위험하고 급박한 상황이면, 잠을 깨우는 게 마땅하다.

지진은 예고 없다. 파괴력은 엄청나다. 6년 전 포항 지진(규모 5.4)은 흥해읍 일대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다. 건물이 부서지고, 담이 무너졌다. 1명이 숨지고, 117명이 다쳤다. 2천 명 가까운 이재민이 발생했다. 포항 시민들은 아직도 지진 트라우마로 고통받고 있다. 경주를 비롯한 동남권에서 크고 작은 지진이 잦다. 올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는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99차례 발생했다. 이 중 경북·경남·울산 등 동남권에서 발생한 지진은 10차례다. 동남권에는 활성단층이 많아 강진이 일어날 위험이 있다.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겠다. 동남권에는 원전 등 위험 시설물이 집중돼 있다. 더욱 긴장해야 할 이유다. 특히 동해안 지진이 언제 어떤 규모로 닥칠지 알 수 없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지진해일의 높이가 올라갈 수 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진·지진해일 매뉴얼을 정비하고, 내진 보강 및 시설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 아울러 안전을 원전 정책의 최우선에 둘 것을 촉구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