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노조 "지속적인 노조패싱 규탄"…공단 통·폐합 후 직원 불만 속출

공공시설공단 직원 중 시설공단 출신 직원 "직급 강등대상자 됐다"
노조 동의 없이 경영진 일방 발표, 조합원들 설득할 자료도 제공 거부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매일신문DB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매일신문DB

지난해 10월 대구시설관리공단과 대구환경공단이 통합, 출범한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이하 공공시설공단)이 직급 체계 조정 과정에서 내홍을 겪고 있다. 특히 시설공단 출신 직원들은 사실상 직급 강등 대상자가 됐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4일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시설노동조합(이하 시설공단노조)은 성명을 내고 "통합 이후 양 기관 이원화된 직급·임금 조정과정에서 첨예한 갈등이 불거졌다"며 "승진 유예 및 강등대상에 시설공단 출신 직원은 103명인 반면 환경공단 출신은 한 명도 없다"고 지적했다.

공공시설공단에 따르면 통폐합 이전, 시설공단은 신규 채용 시 고졸 기능직을 6~7급으로 채용했으나, 환경공단은 9급으로 채용했다.

문제는 직급체계 통합 과정에서 가장 낮은 직급을 7급으로 통일하면서 불거졌다. 7급은 또다시 두 직급으로 나뉘는데, 더 높은 직급이 되려면 '대졸전형 입사자' 요건을 갖춰야 한다.

이 때문에 시설공단 출신 고졸 기능직 등 76명이 최종학력이 낮다는 이유로 통폐합 후 최하위 직급으로 분류됐다.

당초 6~7급으로 시설공단에 입사해 중간 관리자 역할을 해왔던 이들은 사실상 강등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같은 기준으로 환경공단 출신 '강등 대상자'는 7명이다.

시설공단노조는 "직제 통합은 민주적 절차와 방식으로 수행돼야 마땅한데, 향후 근로자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사측은 객관적인 자료 제공도 거부하고 있고, 관련 요청을 무시해왔다"며 "심지어 단체협약 위반사항을 노조 동의도 없이 임원진이 '경영메시지'를 통해 공식 발표했다"고 비판했다.

박정재 시설공단노조위원장은 "사측과 합의를 하려고 해도 직급 변화에 대해 조합원들을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직원 수백여명의 인생이 걸린 문제다. 개개인의 임금이나 직급 변화 시뮬레이션을 상세히 보여줘야 이를 토대로 직원들에게 설명을 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 석미정 공공시설공단 통합혁신추진단장은 "환경공단의 경우 대졸 9급 전형, 시설공단의 경우 대졸 7급과 고졸 9급으로 입직 경로가 나뉘어 있었다. 이들에 대한 직급 통합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승진유예를 통해 조정하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오해가 있을 수 있지만 몇 년 뒤 같은 입사연도에 비슷한 직급을 받을 수 있도록 조정해가는 과정"이라며 "전 직원 자료를 노출할 수는 없는 일이고, 노조 대표자들은 추진단 사무실 안에서는 언제든지 볼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