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오후 대구도시철도 2호선 수성구청역 4번 출구 앞, 보라색 킥보드형 개인형이동장치(PM) 2대가 떡하니 출구 앞에 가로놓여 있었다. 커다란 변압기와 다른 지장물로 이미 좁아진 지하철 출구 앞은 보는 것만으로 답답해졌다. 여기서 걸어서 4분 떨어진 한 할인마트 앞에는 전기자전거형 PM이 도로 갓길에 방치돼 있어 운전자들을 위협하는 건 물론 2차 사고가 걱정스럽게 했다. 횡단보도 앞에 덩그러니 놓인 PM 역시 곳곳에서 발견됐다.
대구시가 도로나 도시철도 출입구 등에 무분별하게 방치된 PM을 줄이려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획기적인 개선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PS 측정오차 등 기술적 문제 영향이 큰데, 시민 의식 수준부터 발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에 따르면 PM 무단 방치 민원은 지난해 1만430건에서 올해 9월 기준 1만6천931건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개선 노력과는 별개로 매년 PM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는 부분이다.
대응책으로 대구시는 지난 9월부터 'PM 5대 주정차 금지구역'에 대한 상시 PM순찰반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주정차 금지구역은 보·차도가 구분된 차도 ▷도시철도역 진출입구 전면 3m 이내 ▷버스승강장 5m이내 ▷횡단보도 3m이내 ▷점자블록 위 등이다. 5곳 모두 보행자가 많이 몰리면서 PM이 방치될 경우 교통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곳이다.

순찰반은 지난 7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는 수성구청역 인근과 경북대 대학가 인근에 대한 점검을 시행했다. 이날 2시간 동안 이뤄진 상시 순찰 중에도 15대의 PM이 주정차 금지구역에 방치된 채 적발됐다. 대구시 직원이 해당PM의 위치와 현장사진을 PM대여사업자에게 전송하면, 보통 1~2시간 안에 수거가 이뤄진다. 다만 이 역시 '사후약방문'이라는 한계도 분명하다.
대구시도 관련 대책을 이미 내놨다. 지난 3월 이미 대구시내 7개 PM대여사업자와 안전관리 실천방안을 합의하고 선도적으로 'PM 반납 불가구역'을 대거 설정했다. 반납 불가구역은 도시철도역사, 버스 승강장, 중·고교 정문 등 모두 6천여 곳에 달한다. 이들 장소에서 PM을 반납하면 업체별로 다르지만 최대 1만8천원의 추가요금을 부과한다. 운행종료 역시 되지 않아 요금이 계속 올라가도록 했다.
사라질 줄 알았던 문제가 반복되는 것은 GPS 측정오차 때문이다. PM 업체들이 사용하는 GPS의 오차범위는 15m에 달해 반납 불가구역에서도 반납이 가능한 상황이 생기기 때문이다. 반대로 반납불가구역을 너무 광범위하게 설정하면 PM이용자의 민원이 커질 수밖에 없다.
대구시는 기술적 문제 개선을 유도하는 한편 PM상시순찰 및 계도 캠페인을 지속하면서 이용자 의식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신규원 대구시 교통정책과장은 "이륜차 헬멧 착용도 수십년 간 노력 끝에 당연히 쓰는 문화가 정착한 것처럼, PM도 대중화된 지 불과 2~3년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과도기에 있다"며 "행정관청 뿐만 아니라 경찰에서도 계속 단속이나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개선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