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독립운동기념관, 산하 호국시설 '직원 채용' 예산만 챙기고 파견 안 보내

경북독립기념관,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과 경주 통일전 각각 위탁 운영
운영 예산 8억2천만원 중 8명 신규채용 인건비 3억4천500만원…현장에는 단 3명만 배치
6급 신규 인원 뽑지 않고 자체 승진으로 충당 논란도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추모벽. 매일신문 DB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추모벽. 매일신문 DB

경북독립운동기념관이 위탁 운영기관 인건비로 받은 예산을 '제 식구 배불리기'에 썼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파견 목적으로 채용한 직원을 기념관에서 근무하게 하고, 파견 기관에 배정 받은 6급직 채용은 내부 승진으로 대신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북도는 그간 시·군이 운영해 왔던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 ▷경주 통일전 등 호국시설을 순차적으로 넘겨받아 직접 관리 중이다. 지난 2021년 청송군으로부터, 올해 하반기 경주시로부터 각각 시설 운영권을 넘겨받았다. 각 기관을 내실있게 운영해 장래 국가 현충시설로 육성한다는 목표에 따른 것이다.

경북도 2023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독립운동기념관은 올해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1년)과 경주 통일전(6개월) 운영 예산으로 각각 2억7천만원과 5억5천만원을 배정받았다.

이 가운데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 인건비 명목으로 1억7천만원을 받아 8급(교육·학예) 2명과 전시해설 공무직 1명 등 모두 3명을 선발했다. 경주 통일전 인건비로도 1억7천500만원을 받아 6급(교육) 1명과 9급(교육·기술·사무) 3명, 공무직 1명 등 모두 5명을 선발했다.

그러나 경북독립운동기념관 측은 이들 가운데 단 3명(항일의병기념관 공무직 1명, 통일전 기술직·공무직 각 1명)만 각 시설에 파견했다.

다른 5명은 경북독립운동기념관 내부 조직인 교육문화부와 경영지원부, 전략사업팀 등에 근무하며 당초 채용 목적과 다른 업무를 맡고 있다.

특히 경북독립운동기념관 측은 통일전 신규 정원으로 배정된 6급 자리에다 기존 독립운동기념관 6급 직원을 이동 배치하고, 이에 따라 남은 6급 자리에 기존 7급 직원을 승진시킨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두고 기념관 안팎에서는 '인사 적체를 해소하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대해 경북독립기념관 관계자는 "새로 들어온 직원들은 일을 배우는 목적으로 기념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이라며 "통일전 신규 정원으로 배정된 6급은 위탁 업무를 총괄할 수 있는 내부 6급직으로 대신했다. 다만 이와 관련해 경주시나 경북도에 처음부터 협의를 거치지 않은 것은 맞다"고 해명했다.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의 전경. 이 공원은 2021년부터 운영권을 청송군에서 경북도로 이관됐다. 청송군 제공
청송 항일의병기념공원의 전경. 이 공원은 2021년부터 운영권을 청송군에서 경북도로 이관됐다. 청송군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