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집계한 이래 처음으로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70대 이상 인구는 631만9천402명으로, 20대(619만7천486명) 인구를 넘어섰다.
2022년까지만 해도 70대 이상 인구(608만여명)는 20대 인구(641만여명)보다 적었다.
그러다 지난해 70대 이상 인구가 전년보다 23만여명 불어났는데, 20대 인구는 약 22만 명 줄어들면서 처음으로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지난해 65세 이상인 '고령 인구'는 전년보다 46만여명 증가한 973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9.0%였다.
전체 인구 대비 고령 인구 비율은 ▷2015년 13.2% ▷2020년 16.4% ▷2022년 18.0% 등 매년 높아지고 있다.
유엔(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 사회, 20% 이상은 초고령 사회로 보는데, 우리나라는 내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저출산·고령화와 함께 전체 인구도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천132만여명으로 전년 대비 0.22%(11만3천여명) 줄었다. 사상 처음으로 인구가 줄어든 2020년 이후 4년 연속 하향 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초등학교 입학 예정 6세 인구는 36만4천740명으로, 집계 후 처음으로 30만명대로 주저앉았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역시 3천593만여명으로, 전년보다 0.96%(35만여명) 감소했다.
여중협 행안부 자치분권국장은 "인구 감소가 심화하고 있는 지역의 인구 유입과 출생률을 올리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며 "통계를 정밀하게 분석해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구미 '탄반 집회' 뜨거운 열기…전한길 "민주당, 삼족 멸할 범죄 저질러"
尹 대통령 탄핵재판 핵심축 무너져…탄핵 각하 주장 설득력 얻어
尹 탄핵 선고 임박했나…법조계 "단심제 오판은 안 된다" 우려도
권영세 "美 민감국가 지정, 이재명 국정장악 탓…탄핵 악용 막아야"
홍준표 "탄핵 결정도 안 났는데 이재명 띄우기 여론 조사 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