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집계한 이래 처음으로 70대 이상 인구가 20대 인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3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70대 이상 인구는 631만9천402명으로, 20대(619만7천486명) 인구를 넘어섰다.
2022년까지만 해도 70대 이상 인구(608만여명)는 20대 인구(641만여명)보다 적었다.
그러다 지난해 70대 이상 인구가 전년보다 23만여명 불어났는데, 20대 인구는 약 22만 명 줄어들면서 처음으로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지난해 65세 이상인 '고령 인구'는 전년보다 46만여명 증가한 973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9.0%였다.
전체 인구 대비 고령 인구 비율은 ▷2015년 13.2% ▷2020년 16.4% ▷2022년 18.0% 등 매년 높아지고 있다.
유엔(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 사회, 20% 이상은 초고령 사회로 보는데, 우리나라는 내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저출산·고령화와 함께 전체 인구도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천132만여명으로 전년 대비 0.22%(11만3천여명) 줄었다. 사상 처음으로 인구가 줄어든 2020년 이후 4년 연속 하향 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초등학교 입학 예정 6세 인구는 36만4천740명으로, 집계 후 처음으로 30만명대로 주저앉았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역시 3천593만여명으로, 전년보다 0.96%(35만여명) 감소했다.
여중협 행안부 자치분권국장은 "인구 감소가 심화하고 있는 지역의 인구 유입과 출생률을 올리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며 "통계를 정밀하게 분석해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임은정, 첫 출근 "한때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수괴…후배들 참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