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개혁신당 정강정책위원장이 최근 '65세 이상 지하철 무상 이용 폐지' 공약을 발표한 가운데, 김호일 대한노인회장이 "결혼도 안 하고, 애도 키워보지 않고, 가정 살림도 안 해보고 정치판에서 무위도식하니 세상 물정을 한참 모르는 헛소리를 남발한다"고 쏘아붙였다.
김 회장은 22일 '이준석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폐지 망언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노인을 치면 젊은이 표가 나한테 안 오겠느냐'는 얄팍한 계산으로 허무맹랑한 소리를 하는데, 이런 무책임한 사람이 어찌 정치를 하느냐"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지하철은 장애인도 어린이도 무료로 타는데 노인이 타면 적자가 나는 것인가"라며 "노인이 타지 않더라도 열차는 달려간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릿고개 넘기기 어려운 시절을 지나 한강의 기적을 일구고 우리나라를 10대 경제 강국으로 만든 1등 유공자인 노년층에게 혜택을 주지 말자는 건 학대"라고 역설했다.
또 김 회장은 "무임승차로 인해 연간 8천억원 대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이 위원장 발언에 대해선 "지하철 회사의 적자는 노인 때문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승객이 탔든 안 탔든 철도 운행엔 같은 전기료가 발생한다"면서 "노인이 지하철을 타지 않으면 흑자로 전환되는가"라고 반문했다.
1984년 도입된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는 시행 초반에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높지 않아 재정 부담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가 급속히 고령화하고, 지자체별 도시철도공사의 재정 적자 규모도 커지면서 찬반 논란이 계속되는 중이다.
무임승차로 인한 재정 적자에 대해 김 회장은 "요금 현실화가 답"이라고 말했다. '다른 세대의 부담이 늘지 않냐'는 질의엔 "IT 기술 발전에 따른 자동화로 인력을 감축하고 임금 인상 투쟁을 하는 노조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대한노인회가 국비 지원을 정부에 촉구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한편 이 위원장은 지난 18일 65세 이상 노인들의 지하철 무임승차를 폐지하는 대신 연간 12만 원 교통카드를 도입하겠다는 총선 공약을 발표했다. 김 회장은 이에 "신당이 아니라 패륜아 정당을 만들겠다는 망나니 짓거리"라고 반발 성명을 낸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
홍준표 "탄핵 기각되면 대구시장 계속…역점적으로 사업 추진"
이재명, '선거법 2심' 선고 앞두고 '대장동 재판' 출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