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끌어 쓴 다중채무자가 역대 최다 수준인 450만명으로 불어났다. 소득 대부분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하는 대출자가 계속 늘어나면 장기적으로 소비 위축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1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2분기 448명보다 2만명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다 기록이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1천983만명)에서 차지하는 비중(22.7%)도 사상 최대에 달했다.
이들의 전체 대출 잔액은 568조1천억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1억2천625만원으로 나왔다. 직전 분기(572조4천억원, 1억2천785만원)와 비교하면 각각 4조3천억원, 160만원 감소했다.
상환 능력은 한계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높은 금리와 대출 한도 등으로 추가 대출을 통한 돌려막기가 힘들어진 탓으로 해석된다. 작년 3분기 다중채무자의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2019년 3분기(1.5%) 이후 가장 높은 1.5%로 추산됐다.
이들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평균 58.4%였다. 소득 절반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셈이다.
통상 DSR이 70% 안팎이면 최소 생계비를 제외한 대부분 소득으로 원리금을 갚아야 하는 상황으로 간주한다. DSR이 70% 이상인 다중채무자는 118만명, 100%를 넘어 소득보다 원리금이 큰 경우는 64만명으로 집계됐다.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취약차주'는 전체 가계대출자의 6.5%인 128만명이었다.
한은은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취약차주와 비은행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등 취약 부문에서 대출 건전성이 저하되고 있다"며 "소비 임계 수준을 상회하는 고DSR 차주가 늘어날 경우 차주의 소비성향 하락으로 이어져 장기에 걸쳐 가계소비를 제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전한길뉴스' 출범하자마자 홈페이지 마비…보수층 대안 언론 기대
野 의원들, '계란 투척' 봉변…경찰, 헌재 시위대 해산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