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 정원 확대에 반발한 '의료대란'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의 수련병원 전공의들이 잇따라 사직서를 제출하는 가운데 대구 지역 수련병원에서도 가시적인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대규모 의료공백 사태 여부는 19~20일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수련병원도 '집단 사직' 논의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구 6개 수련병원(경북대병원, 영남대병원, 계명대 동산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대구파티마병원) 가운데 계명대 동산병원과 칠곡경북대병원, 영남대병원 전공의들이 16일 긴급회의를 열고 사직서 제출 등 집단 행동 여부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의 내용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는데, 정부의 전공의 집단 행동에 대한 압박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섣부르게 집단 행동 여부가 드러날 경우 정부가 강경대응하는 표적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대구시내 한 개원의는 "개인적으로 알아보니 사직서를 이미 제출했다는 이야기가 상당히 많이 들린다"며 "수련병원장 입장에서는 사직서를 바로 수리할수도, 반려할수도 없는 상황이라 일단 받아두고 있다고 했다"고 전했다.
전공의 사직과 의대생 동맹 휴업 '디데이(D-Day)'는 이미 구체화된 상황이다. '빅5'로 불리는 서울 상급종합병원 5곳(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 전공의들은 19일 사직서를 제출하고 20일 오전 6시부터 출근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또한 20일을 기점으로 동맹휴학 또는 이에 준하는 행위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의대협은 15~16일 전국 의과대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90% 이상이 동맹휴학에 찬성 의사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대한의사협회(의협) '의대 정원 증원 저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7일 첫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의대생 동맹휴학, 전공의 사직, 향후 투쟁 추진 로드맵, 의료공백 사태 해결을 위한 정부 대상 조치 요구안, 의대생·전공의 지원 계획 등을 논의했다.
◆ 19, 20일이 분수령 될 듯
의료계와 정부는 19~20일이 의료대란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의협 관계자는 "전공의와 의대생 모두 전국적으로 공동대응하기로 방침을 굳혔다"며 "19일부터 의료현장 분위기는 얼어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정부는 '엄정 대응' 기조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후 6시 기준 전국 수련병원 10곳의 전공의 235명이 사직서를 냈고, 103명이 실제로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복지부는 이들에게 의료법에 따라 업무개시를 명령했다.
복지부는 복귀 후 다시 근무지를 벗어나는 '가짜 복귀'를 막고자 병원들에 근무 상황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굉장히 기계적으로 법을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당도 정부의 강경 기조에 힘을 실었다. 윤희석 국민의힘 선임대변인은 "대화를 통한 타협을 위해 끝까지 노력할 것이지만, 의사 단체들이 끝내 불법 파업에 돌입한다면 반드시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하겠다"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
전한길 "李대표 사법리스크 때문에 대한민국 법치·공정 무너져"
홍준표 "탄핵 기각되면 대구시장 계속…역점적으로 사업 추진"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