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민 10명 중 7명은 대구시가 추진하는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건립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매일신문이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8~29일 대구에 사는 만 18세 이상 1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1%포인트) 결과, 박 전 대통령 동상 건립에 '찬성'한 응답자는 68.6%로, 반대 응답자 29.6%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 동상 건립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 가운데 '적극 찬성' 의견은 51.3%를 차지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고령층과 30대의 긍정 답변이 두드러지게 높았고, 부정 응답의 경우 40대에서 가장 높았다.
70대 이상 고령층에서 '찬성' 응답이 89.1%로 가장 높았으며 60대 77.6%, 30대에서도 71.6%가 박 전 대통령 동상 건립에 긍정적으로 찬성했다.
반면 부정적 답변은 40대에서 44.7%가 '반대' 의견을 보여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만 18세~20대에선 부정 응답이 39.6%로 집계됐다.
동상 건립을 찬성하는 이유에 대해선 90%의 응답자가 '박 전 대통령의 업적이 훌륭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을 꼽았으며, 응답자 6.5%는 '역대 대통령은 누구나 동상이나 기념관을 건립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동상 건립에 대한 높은 찬성률과 함께 이번 조사에선 동상 건립 사업 자체에 대한 관심도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시가 박 전 대통령 동상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86.8%의 응답자가 '알고 있다'고 답했으며, 만 18세~20대 젊은 층에서도 95.7%가 '알고 있다'고 답했다.
'우리나라에서 박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어떤지'에 대한 물음에는 54.7%가 '실제 업적보다 더 과소평가되고 있다'는 의견을 밝혔고, 34.1%는 '실제 업적보다 과대평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연구와 계승에 대해선 57.5%의 응답자가 '박정희 정신이나 국정철학이 제대로 계승되지 않고 있다'고 답했으며, '제대로 계승되고 있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이어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중 가장 훌륭한 대통령을 누구로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56.4%가 '박 전 대통령'을 꼽았고, 그 뒤를 이어 16.0%의 응답자가 '노무현 전 대통령'을 택했다.
아울러 박 전 대통령 기념관 건립에 대해서도 시민 10명 중 7명이 '찬성' 의견을 보였다.
'향후 박 전 대통령 기념관을 건립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70.2%가 '찬성' 의견을 밝혔고, '반대' 의견은 28.1%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대구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박 전 대통령 동상 건립 비용 14억5천만원이 포함된 대구시 추가경정예산안을 통과시켰다.
앞서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달 25일 박 전 대통령 동상 건립 사업을 둘러싸고 일부에서 반대 여론이 제기된 것과 관련해 "시민의 뜻도 저와 다를 바 없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홍 시장은 페이스북 글에서 "역사적 인물을 평가할 때는 늘 공과가 있는 것인데 과만 들추어내어 반대하는 것은 유감"이라며 "동상 건립은 박 전 대통령을 우상화하자는 것도 아니고 대한민국 산업화의 출발인 대구에 그분의 산업화 정신을 기리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한길리서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여론조사 개요
▷조사 대상: 대구시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조사 규모: 1000명
▷조사 방법: 무선ARS 65.0%, 유선ARS 35.0% 병행
▷피조사자 선정 방법: 성·연령·지역별 할당 무작위 추출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1%p
▷조사기간: 2024년 4월 28~29일
▷가중값 산출 및 적용 방법: 성·연령·지역별 가중값 부여(2024년 3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
▷조사기관: ㈜한길리서치
▷응답률: 3.5%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