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서 몽골 울란바토르행 저가항공 뜰까?

정부 '메가 케리어' 독점 우려…30개 노선 운수권 집중 배분
티웨이 3회 확보…취항 기대

대국국제공항에서 이륙한 여객기가 불을 밝혀 밤하늘을 날아 오르는 모습. 매일신문 DB
대국국제공항에서 이륙한 여객기가 불을 밝혀 밤하늘을 날아 오르는 모습. 매일신문 DB

지방공항과 저비용항공사(LCC)의 외국 직항 항로가 넓어진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으로 '메가 캐리어' 독점 현상 우려가 나오자 정부가 LCC에 인도네시아의 발리와 자카르타, 몽골 울란바토르 등 '황금 노선' 운수권을 집중 배분한 것.

이번 조치로 대구에서 울란바토르로 가는 하늘길이 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26일 국토교통부는 "지난 24일 항공교통심의위원회에서 30개 노선의 운수권을 11개 국적 항공사에 배분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배분된 노선을 보면 지방공항발 인도네시아 직항노선이 신설된다. 부산(김해공항)-발리 노선(에어부산 주 4회), 부산-자카르타 노선(진에어 주 4회), 청주-발리 노선(티웨이 주 3회)이 운항된다.

여기에 지방공항에서 몽골 울란바토르를 오가는 노선의 운항 횟수도 확대된다. 먼저 부산에서 울란바토르로 가는 노선은 진에어 주 3회, 제주항공이 주 1회 운항한다. 여기에 에어로케이와 티웨이가 각 주 3회 울란바토르 노선을 운영한다.

특히 대구공항을 기항지로 하는 LCC인 티웨이가 울란바토르 노선을 청주 4회, 대구 2회로 신청했는데 국토부가 "배분받은 3회 안의 범위에서 자율 선택해 운항"하도록 해 대구-울란바토르 노선 취항 가능성이 생겼다.

앞으로 국제노선 다양화를 통한 LCC의 경쟁력 확보도 기대된다. 그간 동북아·동남아 위주로 운항했던 국내 LCC는 인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등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도 취항할 수 있게 된 것. 이스타는 주 2회 인천-카자흐스탄 알마티 노선을, 제주항공은 주 3회 한-우즈베키스탄 노선을 운항한다. 티웨이는 서울/인도 뉴델리·뭄바이 노선을 주 3회 운항할 예정이다.

호주, 포르투갈 등 중장거리 노선에도 기존 운항사 외에 LCC를 포함한 다양한 신규 운항사가 추가된다. 한-호주 노선은 에어프리미아가 주 1천241석, 티웨이는 주 300석을 운영하며, 한-포르투갈 노선의 경우 대한항공이 3회 운항한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올해 여객 수요가 많고, 경제협력이 강화되는 국가를 대상으로 지방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네트워크 확충에 중점을 두고 항공회담을 지속적으로 개최하며 운수권을 확보해 오고 있다"며 "국민께서 실제 넓어진 하늘길을 체감하실 수 있도록 운수권을 배분받은 항공사의 조기 취항을 독려하고, 앞으로도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곳에 국제선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노선별 운수권 배분결과 총괄표. 지방-울란바토르(총 6회)는 티웨이, 에어로케이 운수권 신청 내역(티웨이 청주4, 대구2/에어로케이 제주4, 청주1)과 운수권을 배분(각 3회)받은 범위 내에서 자율 선택하여 운항할 수 있다. 2024.5.26. 국토교통부 제공
노선별 운수권 배분결과 총괄표. 지방-울란바토르(총 6회)는 티웨이, 에어로케이 운수권 신청 내역(티웨이 청주4, 대구2/에어로케이 제주4, 청주1)과 운수권을 배분(각 3회)받은 범위 내에서 자율 선택하여 운항할 수 있다. 2024.5.26. 국토교통부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