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호 태풍 끄라톤(크라톤)이 발생한 28일 각국 기상모델이 현재 태풍이 위치한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대만 동쪽 해안으로 향하는 경로를 두고는 의견 일치를 보이는 가운데, 그 이후 '한반도행'이 유력한 경로에 대해서는 벌써부터 '경우의 수'를 제시하고 있다.
한·미·일 기상당국의 공식 예보 '닷새치' 이후 전망에 당분간 시선이 향하게 됐다.
▶이날 다중앙상블(GEFS) 모델은 태풍 끄라톤이 대만 동쪽~일본 오키나와 열도 남서단 사키시마 제도 인근 해상부터 북동진 경로를 밟아 제주도 동쪽이자 일본 큐슈 서쪽 해상을 통과, 대한해협으로 북상하는 경로를 전망하고 있다.
이어 대한해협 해상을 북동진 경로로 통과하는 게 아니라, 부산~울산~경북 포항 등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에 상륙, 동해로 빠져나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태풍 끄라톤은 동해상에서 경로를 동진으로 꺾어 약화 내지는 소멸한 상태로 일본 혼슈 토호쿠 지역도 횡단할 것으로 보인다.
즉, '영남행' 경로라고 할 수 있다.
최근의 한국행 태풍 중에선 2022년 11호 태풍 힌남노와 닮았다.
▶그런데 앞서 태풍 끄라톤의 39호 열대저압부 시기부터 GEFS 앙상블 모델과 닮은 맥락의 예상경로를 공개해 온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 Ensemble(앙상블) 모델이 이날 오후엔 결이 좀 다른 예상경로를 내놨다.
ECMWF 앙상블 모델은 GEFS 모델과 전망과 비교해 우선 태풍 끄라톤이 대만 동쪽 해상을 지날 때 해안에 더 바짝 붙는 경로를 예상한다.
이후 북동진 경로에서도 동쪽 일본보다는 서쪽 중국에 더 가까이 붙어 상하이 앞바다 등 동중국해를 북상한다.
그래서 태풍이 진입할 우리나라 관문은 GEFS 모델이 전망한 '제주도 동쪽~큐슈 서쪽 해상'이 아니라, '제주도 서쪽 해상'이 된다는 것.
이어 태풍 끄라톤은 서해로 올라가더니 기존 북동진 경로를 좀 더 동쪽으로 꺾어 호남 일대 서해안을 상륙 경로 삼는다는 전망이다. ECMWF 앙상블 모델에선 전남 영광~전북 고창·부안·군산 일대를 상륙지로 본다.
즉, '호남행' 경로다.
최근의 한국행 태풍 중에선 2019년 18호 태풍 미탁과 닮았다.
이같은 부산 등 동남부 지역을 거치는 경로와 서해안 일대로 상륙하는 경로 둘 다 과거 우리나라로 왔던 태풍들이 꾸준히 보여온 단골 경로다.
▶물론 이 2가지 예상만 시나리오의 전부인 건 아니다.
일단 태풍 끄라톤이 대만 동쪽 해상을 북진하는 경로는 우리 기상청을 비롯해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와 일본기상청도 한 목소리로 설명하고 있어 사실상 굳어진 수순으로 볼 수 있다.
그러면서도 태풍 끄라톤 경로가 대만 동쪽 해안에 얼마나 가까이 붙느냐, 다시 말해 육지와 얼마나 부딪히느냐가 변수가 될 수 있다. 대만에 아예 첫 상륙을 하는 경우, 육지에서는 먹이인 수증기를 바다에서보다 공급받기 힘들어져 세력이 감퇴하는 태풍의 특성상 태풍 끄라톤이 예상보다 빨리 약화하는 수순이 현실로 나타날 수 있게 된다.(기상앱 '윈디'를 통해 태풍 끄라톤 예상경로를 확인한 일부 네티즌의 경우 태풍이 대만에 아예 상륙해 소멸할 것이라는 예상도 하고 있는데, 같은 맥락의 시나리오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태풍 끄라톤이 대만을 완전히 벗어나는 시점이 될 10월 3일 이후 경로와 세력 분석 등에 대해 각국 기상모델이 의견 일치를 보일지 아니면 이견을 나타낼지가 우리 국민들의 다음 주 태풍 대비에 주요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여러 기상모델을 종합하면 다음 주 후반이 태풍 끄라톤이 한반도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시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10월 1일 국군의 날과 10월 3일 개천절에 주말까지 더한 징검다리 연휴의 후반부다.
댓글 많은 뉴스
연일 '노벨 문학상' 한강 저격하는 정유라…"망상 갖고 쓴 글"
[단독] 대구시, TK통합 정부 중재안 '전격 수용'…다시 불씨 살아난 TK통합
이재명 "선장이 술 먹고 지도 못 보면 항해 되겠나"
권영진 "동대구역 광장은 대구시 소유"…국회 논쟁 일단락
한동훈 "김건희 국민 우려 없애려면 대통령실 인적 쇄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