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강원 최대도시 원주, 단계동 고도제한 완화 지지부진…슬럼화 심각

원주시 여전히 고도·층고제한 완화 계획 없어..."강릉‧삼척 사례 참고해야"

원주 종합버스터미널과 슬럼화 된 옛 고속버스터미널 부지 전경. 유튜브 화면 캡쳐.
원주 종합버스터미널과 슬럼화 된 옛 고속버스터미널 부지 전경. 유튜브 화면 캡쳐.

강원특별자치도의 최대도시로 꼽히는 원주시의 뒷짐 행정으로 인해 단계동 개발이 지지부진해지며 상권 붕괴 등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원주시보다 인구가 적은 강릉시와 삼척시에서도 개발을 위해 행정적 결단을 내리며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노력하는 데 반해 원주시의 노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16일 원주 부동산 업계 등 지역 관계자에 따르면 원주시의 중심 상권인 단계동 개발에 대한 원주시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큰 상황이다.

단계동 상권의 몰락 배경으로는 고도제한이 꼽힌다. 원주시에 따르면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에 따라 원주 110㎢가 비행안전구역 고도제한 적용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단계동과 우산동, 가현동, 태장동 등 도심 일대가 높이 45m 이하의 고도제한이 적용되고, 10층 이하의 건축물만 허용되고 있다.

규제로 인해 개발이 막히자 상권도 피폐해지고 있다. 고질적인 인구 유출을 막고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계동을 넘어서는 원주시의 랜드마크 건물 건립 등 계획이 필요하지만 10년 넘게 답보상태다.

구체적으로 단계동의 원주종합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 부지까지 그대로 방치되며 주민들의 원성이 큰 상황.

원주종합버스터미널은 원주로 들어오는 시외·고속버스의 종착점으로서 지역 주민들에게 매우 중요한 장소로 꼽힌다. 하지만 터미널이 있는 1층을 제외한 건물 대부분이 장시간 공실로 방치되면서 '흉물'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또 단계동의 구 고속버스터미널부지 역시 수십년 넘게 방치되고 있다. 지역 경제 성장의 발판이 될 수 있던 버스터미널 부지인데, 방치가 길어지면서 외형 역시 폐가를 연상케 한다. 강원 최대 도시인 원주시의 단계동이 슬럼(삶의 질이 낮으며 오염돼 있는 쇠토한 도시)화 됐다는 비판까지 나오는 중이다.

해당 건물들이 흉물로 변하는 배경은 개발을 가로막는 고도제한 등인데, 원주시만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특히 지난 10월 원주시의회에서는 고도제한이 지역 발전을 저해하는 등 '족쇄'로 작용하고 있다며 완화 필요성을 제기되기도 했다.

원강수 원주시장.
원강수 원주시장.

한편으로는 강릉시와 삼척시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2022년 7월, 강릉시는 준주거지역의 용적률을 400% 이하에서 500% 이하로, 중심상업지역은 1천200% 이하에서 1천500% 이하로 상향 조정했다. 또 제2종 일반주거지역의 25층 이하 층수 제한을 해제하는 등 건축 규제를 완화하는 도시계획 조례 개정을 추진했다.

삼척시는 구도심의 공공부지를 활용해 도심형 주거복합시설을 조성하는 등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다르게 원주시는 고도제한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몰락하고 있는 상권을 외면하고 있는 것.

원주시 관계자는 "고도제한이나 층고제한 완화 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며, 관련 조례 준비 상황에 대해서도 "확인된 바 없다"고 했다.

여전한 원주시의 입장에 단계동 지역 주민 A 씨는 불만을 토로했다. A 씨는 "원주시의회에서도 고도제한 완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다. 올해는 정말 뭔가 달라질 줄 알았다. 강릉시와 삼척시도 지역 발전을 위해 적극 나서는 것에 비해 원주시는 너무 초라하다. 이러다 정말 슬럼화를 넘어서 인구소멸지역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