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배추와 무 공급 부족으로 가격 고공행진이 지속되자 정부 비출물량을 풀고, 수입 물량 확대하는 등 대책을 내놨다.
7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경제관계차관회의 겸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민생경제점검 TF(태스크포스)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배추·무 수급 안정 방안'을 내놨다.
최근 겨울 배추와 무 생산량은 지난해 고온현상과 호우 피해, 겨울철 대설과 한파 등이 겹쳐 생산량이 평년 대비 10~21% 감소한 상황이다.
이에 지난달 하순 배추와 무 도매가격은 각각 평년보다 71.7%, 153.2% 올랐다. 소매 가격은 배추는 평년보다 36.9% 비싸고 무는 81.1% 비싼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배추와 무 가격 고공행진은 봄 재배 배추(4월 하순), 무(5월 중순)가 시장에 출하되는 시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농식품부는 비축·수입 물량 시장 공급 확대, 대체 소비 홍보 및 할인 확대 등 대안을 내놨다.
정부는 비축한 배추 2천600t(톤)을 하루 100톤가량 도매시장에 공급하고, 무 비축분 500톤을 도매가격의 70% 수준으로 할인해 대형마트에 넘기기로 했다.
또한 직수입 물량도 전국 도매시장 등에 공급한다. 배추와 무 공급량은 한 주에 각각 200∼500톤 수준이다. 수출 물량은 가공업체나 식자재마트 등에도 공급될 수 있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까지 배추와 무에 할당관세를 적용해 수입할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할당관세를 적용해 배추는 1천326톤(1만톤 한계), 무는 3천225톤(2만톤 한계)을 수입한 바 있다.
농식품부는 소비자들의 부담을 낮추기 배추와 무 할인 행사 지원 기간을 4월까지 한 달 연장하기로 했다.
또 봄동, 얼갈이, 열무, 시금치 등 대체 품목에 대한 할인 행사를 지원한다.
이외에 봄 배추와 무의 농협 계약재배 물량과 정부 수매비축 확대 등 추진된다.
이에 농협 봄 배추 재배 물량은 7천톤 늘어난 2만2천400톤, 무는 1천톤 늘어난 4천500톤이 확보될 예정이다.
정부 수매 비축물량은 봄 배추는 5천톤 늘어난 1만5천톤, 무는 2천500톤 늘어난 7천500톤이 확보가 추진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경주에 근무했던 일부 기관장들 경주신라CC에서 부킹·그린피 '특혜 라운딩'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즉시 업무 복귀
"TK신공항, 전북 전주에 밀렸다"…국토위 파행, 여야 대치에 '영호남' 소환
헌재, 감사원장·검사 탄핵 '전원일치' 기각…尹 사건 가늠자 될까
계명대에서도 울려펴진 '탄핵 반대' 목소리…"국가 존립 위기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