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政局)에 격변이 예상됐던 이른바 '수퍼 사법주간'이 저물고 있는 가운데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정은 여전히 감감무소식이다.
법조계에서는 이달 내 선고는 사실상 어려워졌다며 4월 첫 주 선고에 무게를 싣고 있다.
헌재는 27일까지 역대 최장기인 104일 동안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살펴보고 있지만 이날도 선고일정을 고지하지 않았다. 그동안 헌재가 선고 이틀 또는 사흘 전 일정을 고지해 온 관행을 고려하면 윤 대통령 선고는 빨라도 다음 주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법조계에서는 헌재가 탄핵 찬반 진영의 물리적 충돌을 피하기 위해 주말과 휴일을 사이에 두고 고지와 선고를 진행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다음 주 초반 선고일정 고지, 주 후반 선고가 진행되지 않겠느냐고 내다보고 있다.
헌재는 지난달 25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마지막 변론 이후에 한 달 넘게 거의 매일 비공개 평의를 열어 사건을 심리하고 있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정치권 등에서는 재판관 8명이 인용, 기각, 각하 등 세 가지 선택지를 놓고 집중심리를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결정문을 만들지 못한 것은 내부 의견이 갈리기 때문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윤상현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헌재가 대통령 탄핵심판과 관련해 몇 가지 핵심 사안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법조계에서는 결국 중도 또는 중도 보수 성향으로 분류된 정정미·김형두·김복형 재판관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윤 대통령의 운명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통령 사건이라는 특수성과 선고 후 국민통합을 위해 최대한 법리 논리와 구성을 가다듬어 만장일치 의견을 도출할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수퍼 사법주간'이었던 이번 주 헌재는 지난 24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소추안을 기각했고, 서울고등법원은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한편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기각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했던 윤상현 의원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내달 11일로 내다봤다. 윤 의원은 "다음 주 금요일인 4월 4일까지도 힘들 것"이라며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이 퇴임하는 4월 18일 이전인 4월 11일 선고가 유력해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