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산업계에서는 주 52시간제, 4.5일제 등 노동 정책 공약에 대해 유연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제조업의 경우 52시간제 확대 시행 이후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염색산업단지 입주기업 A사 관계자는 "계절별로 처리하는 물량이 다른데 잔업을 할 수 없어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인력난으로 외국인을 고용하거나 고령근로자가 빈자리를 대신하고 있는데, 여기서 근무시간을 더 줄이는 제도가 강화되면 기업을 운영하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산업 분야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IT 업계의 경우 유연 근무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하는데 제도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소프트웨어(SW) 개발업체 B사 관계자는 "자율적으로 탄력적 운영이 가능한데 굳이 4.5일제를 도입해야 할 필요성에 공감하지 못한다. 일이 많은 시기에 집중을 해야 하는데 자칫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했다.
대구 경제단체도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구 경영자총협회 관계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을 비롯한 선진국 사례를 봐도 근무시간을 필요 이상으로 축소하는 것은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지역 경제계는 자영업자가 많고 제조업계는 인력난이 심한데 4.5일 근무를 법제화 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길 대구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일과 삶의 균형이 중요하지만 일률적인 제도 적용은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산업별, 직종별 특성을 고려해 제도를 개편하고 중소기업, 스타트업을 위한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지난 3월 대구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주 52시간 근무제가 지역기업에 미치는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무제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지역 기업의 비중이 53.1%로 집계됐다. '주 4일 근무제'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의견이 59.2%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이혼 접수 3개월 전 부동산 판 김상욱 의원…재산 분할 덜 해주려고?
국힘 의원들 '뒷짐', 이미 끝난 대선?…"득표율 공천 반영 필요" 지적도
'尹 탈당'…국힘 '원팀' 이뤄 김문수 지지율 반등 시킬까?
이재명 "빚내서 집 사는 시대 끝나…'가짜 성장' 청산"
'이재명 맹추격' 김문수, 한동훈·홍준표 '러브콜'…지지층 재결집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