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트럼프, 8월 1일부터 구리에 50% 관세 부과…"국방 필수 소재" 강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8월 1일(현지시간)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구리에 대해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전날 내각 회의에서 언급한 내용의 후속 조치로, 구체적인 시행 시점을 공식화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구리는 반도체, 항공기, 선박, 탄약, 데이터센터, 리튬이온 배터리, 레이더 시스템, 미사일방어체계, 그리고 극초음속 무기 등 다양한 산업과 국방 분야에서 필수적인 소재"라며 "국방부가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자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대통령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되는 품목의 수입을 제한할 수 있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이 조항을 활용해 철강과 알루미늄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현재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해서도 같은 법 적용 가능성을 검토 중이다.

구리는 전기, 건설, 정보기술(IT)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핵심 재료로 사용되며, 철과 알루미늄에 이어 미국 내 세 번째로 많이 소비되는 금속이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미국은 매년 정제 구리의 약 절반을 국내에서 생산하며, 나머지 100만톤가량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 중 약 90%는 칠레, 캐나다, 페루에서 들여온다.

관세 발표 직후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구리 선물 가격은 하루 만에 13.1% 급등했다. 이는 1989년 이후 최대 일일 상승률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구리 수입에 대한 국가안보 조사 지시를 내린 이후부터 현재까지 약 27%의 가격 상승이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이 기간 동안 미국 제조업체들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사전 재고 확보 경쟁에 나서면서 가격 오름세를 부추겼다.

이러한 관세 조치는 미국 내 제조업에 이중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한편으로는 국내 구리 생산업체에 수혜가 돌아갈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구리에 의존하는 공장과 기술 기업들은 원가 상승 압박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실제로 이날 미국 내 구리 선물 가격은 런던금속거래소(LME)보다 약 25% 높은 수준으로 거래됐다.

앞서 미국의 구리 구매자들은 관세 조치의 부작용에 대해 경고해왔다. 특히, 미국 최대 구리 수입업체인 사우스와이어 컴퍼니는 지난 4월 상무부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구리음극 수입을 제한하면 오히려 중국으로 공급이 이동할 것"이라며 "미국 내 생산업체들은 단기적으로 공급 부족을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당장은 시장에 유통되는 구리 물량이 충분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뉴욕상품거래소의 창고에 보관된 구리 재고는 런던과 상하이 선물거래소 전체 보유량을 웃돈다. 이는 가격 상승 국면에서 주요 수출국들이 미국으로의 수출을 크게 늘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