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재명 "원전 위험"…美 원전 활성화 움직임과 엇박자 우려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리에 위치한 한울원전 3, 4호기 모습. 매일신문DB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리에 위치한 한울원전 3, 4호기 모습. 매일신문DB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원전 산업 활성화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원전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드러내면서 자칫 문재인 정부 당시의 '탈원전' 정책이 반복될 경우 미국과의 엇박자로 원전산업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3일 열린 두번째 TV 토론회에서 대 후보들은 에너지 정책을 놓고 날 선 공방을 벌였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원전의 경제성을 강조한 반면 이재명 후보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장하며 원전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이재명 후보는 "우리 원전이 사고가 안 났지만, 50년 또는 100년에 한 번 사고 나면 엄청난 피해가 발생한다"며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도 포화상태인데, 어느 지역에 짓느냐"고 말했다.

이어 "일본 후쿠시마, 러시아 체르노빌 폭발 사고는 조심 안 했겠느냐"면서 "사고가 많이 나기 때문에 비중을 올리는 건 맞지 않다. 원전이 가장 위험한 에너지란 생각은 여전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문재인 정권 당시 신규 원전 건설이 중단되면서 국내 원전 업계가 수주 절벽에 시달리고, 해외 원전 수주도 사실상 끊기는 등 비슷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게다가 최근 미국은 원자력 산업 활성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오는 24일 원자력 산업 활성화를 위해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다. 해당 명령에는 신규 원자로 승인 관련 규제 완화와 핵연료 공급망 강화 방안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인공지능 확산에 따라 20년 만에 전력 수요가 늘어나자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한 바 있다"고 했다. 앞서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 장관은 "전기 생산과 AI를 위한 데이터센터 확대를 위한 경쟁은 '맨해튼 프로젝트 2'"라고 밝히기도 했다.

문재인 정권 당시 원전업계의 타격은 컸다. 신규 원전 건설이 중단되고, 대학의 원자력 관련 학과 신입생 수도 2016년 802명에서 2020년 524명으로 34.7% 줄었던 것이 대표적이다. 원전 기업들은 수주 절벽과 인력난에 시달렸고, 해외 원전 수주도 사실상 중단됐다.

이에 따라 미국 뉴욕증시에서 오클로, 누스케일파워, 카메코 등 원전 관련주들이 강세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원전 관련 업체들에 투자자 관심이 쏠렸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두산에너빌리티는 4만800원으로 6.67% 올랐으며, 한전기술 6만4천600원(+5.90%), 한전KPS 4만4천150원(+8.12%), 비에이치아이 3만8천150원(+5.68%) 등 원전 관련주들이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국내 최초로 원자역 발전소에 적용 가능한 전동 액추에이터를 개발한 에너토크의 경우 이날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