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본격 추진한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반도체, 모빌리티, 항공물류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중심으로 기존 산업단지를 뛰어넘는 글로벌 투자 기반이 마련될 전망이다.
9일 구미시에 따르면 올해까지 330만㎡ 규모의 경제자유구역과 관련한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완료하고, 개발 사업자 발굴에 나선다. 내년에 개발계획 수립 및 경제자유구역 지정 심의 요청, 경제자유구역 지정고시 및 실시계획 수립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르면 오는 2028년 착공한다.
이번 사업의 주체는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북도, 대구경제자유구역청, 구미시 등이며, 산업·상업·업무·주거·교육 등 지구별 개발을 목표로 한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첨단복합산업지구 및 국제업무지구(컨벤션센터, 비즈니스지원센터) 조성, 디지털물류혁신센터 구축, 스마트 주거지구, 국제학교, 비즈니스 호텔, 의료시설 유치 등이 용이해진다.
또한 외국 기업과 유턴 기업 등에 대해 세제 혜택 및 제반 비용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되고, 기존 국가산업단지보다 완화된 규제가 적용되면서 외국 기업들의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
외국교육기관인 국제학교 설립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국제학교 설립 시 외국인 투자자나 기업 유치에 중요한 요소인 자녀 교육 문제가 해결이 돼 장기적인 인구 유입, 인재 영입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경제자유구역 지정 시 대구경북신공항과 시너지 효과를 내며 동반성장 산업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신공항 배후도시로서의 최적의 입지와 기존 산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축적된 제조업의 경쟁력에 더해 스마트 물류, 첨단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게 지역 경제계의 관측이다.
시는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바탕으로 철저한 사업성 분석을 통해 경제자유구역 신청에 나설 계획이며, 현재 경제자유구역 부지는 미정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08년 구미 산동면 임천리·봉산리·금전동 일대 470만㎡를 경제자유구역의 하나인 구미디지털산업지구로 지정했으나, 토지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난 2014년 돌연 해제된 바 있다.
정윤호 구미시 미래도시전략과장은 "예전에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되며 기대감이 컸었지만,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며 아쉬움이 컸던 만큼 이번 기회에 글로벌 투자 기반을 확실히 마련할 것"이라며 "외국인 투자 촉진, 인구 유입 등이 적극적으로 이뤄지는 경제자유구역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