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과 프랑스가 핵전력 사용 조율에 사상 처음으로 합의하는 등 군사력 합력에 뜻을 모았다. 15년 전 체결한 양국의 방위협정도 개선한다. 차세대 장거리 미사일 공동 개발 등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러시아의 위협이 계속되고 미국의 유럽 안보 공약이 예전만 못한 상황에서 방위 수준을 높이는 데 손을 맞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영국을 국빈 방문 중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9일(현지시간) 양국의 핵전력 사용 조율에 합의했다. 영국 정부는 "이번 합의는 양국의 (핵) 억지력이 사상 처음으로 독립적이면서도 조율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양국의 핵심 이익을 위협하는 적대세력은 양국 핵전력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프랑스 엘리제궁 관계자도 "우리의 동맹과 적대세력 모두에 대한 메시지"라고 했다.
영국과 프랑스의 이번 합의는 러시아가 유럽의 안보를 위협하는 시점에 나온 중대한 안보 협력 강화 조치로 평가된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차원의 집단방위에서 발을 뺄 수도 있다며 방위비 증액 등을 압박하던 터였다. 때문에 영국과 프랑스의 핵우산 범위를 넓혀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렸다.
영국과 프랑스는 또 국방 및 안보 협력을 위해 2010년 맺은 '랭커스터 하우스 협약'을 업그레이드하는 '랭커스터 하우스 2.0 선언'에도 서명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우크라이나 전장에 동원된 영국의 스톰섀도 미사일과 프랑스의 스칼프 미사일을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장거리 미사일 개발 ▷차세대 공대공미사일 개발 ▷드론·미사일 격추용 극초단파 무기 공동 개발 ▷동시타격 역량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등이 포함됐다.
두 나라 정상은 영국해협을 이용한 불법 이민 차단에도 큰 틀에서 합의했다. 구체적인 방안 등은 마크롱 대통령의 국빈 방문 마지막 날인 10일(현지시간) 공식 정상회담에서 계속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마크롱 대통령의 국빈 방문은 찰스 3세 영국 국왕 초청으로 브렉시트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