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대·고려대·연세대(SKY) 신입생 중 검정고시 출신이 최근 8년 사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부분 고등학교 내신이 불리하다는 판단으로 학교를 자퇴하고 검정고시를 친 경우로 분석되고 있다.
13일 종로학원이 대학알리미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5학년도 서울대·연세대·고려대의 검정고시 출신 입학생은 총 259명이었다. 189명이 검정고시 출신이었던 전년 대비 37.0%(70명) 증가한 수치다. 2018년(80명)과 비교하면 223.8%(179명) 뛰었다.
검정고시 출신 SKY 입학생은 2018년부터 꾸준히 늘었다. 2019년 82명, 2020년 108명, 2021년 138명, 2022학년 142명, 2023년 155명, 2023년 189명이었다가 올해 처음 200명을 훌쩍 넘겼다.
SKY를 포함한 서울 주요 10개 대학으로 범위를 넓혀도 검정고시 출신 입학생은 증가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2018년에는 276명에 불과했지만 이후 증가를 거듭하면서 올해에는 785명을 기록했다. 이 역시 최근 8년간 최다 수치다.
검정고시 출신 수험생 비율도 매년 느는 추세로, 지난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는 2만109명이 몰렸다. 비교 내신제 폐지 여파로 특수목적고(특목고) 학생들이 대거 자퇴한 1995년 이후 가장 많았다.
고등학교 학업 대신 검정고시를 선택해 대학에 가려는 이들이 많아진 이유로는 내신 점수가 꼽힌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검정고시생들은 대부분 학교 내신이 불리한 학생들로 추정된다"며 "이들은 대학 입시에서 수시일 경우 논술전형, 정시일 경우 수능 중심 전형에 몰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신 5등급제 시행으로 상위 10% 안에 들지 못할 경우 매우 불리한 상황으로 인식돼 앞으로 수험생들이 검정고시로 대입 전략을 수정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李 '이진숙, 문제있는 것 같아 딱하다' 언급"…정규재 전언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방위병 출신 안규백 국방장관 후보자, 약 8개월 더 복무한 이유는?
[단독] 대구도 드디어 '농민수당' 지급하나… 조례안 발의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