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오늘의 포커스'-8월 정국전망

여야 정쟁이 일단 소강 상태다. 대통령 탄핵론과 정당해산론 등 극단적 대치상황에 대한 비난여론을 의식한 여야 지도부가 수습에 나선데다 여름 휴가가 이어져 일시적 휴전에 들어간 것이다. 그러나 일시적인 숨고르기에 불과하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 시각이다. 8월 이후 임시국회 문제와 검찰의 언론사 세무조사 결과 발표 등 쟁점거리가 산적해 있어 정국이 언제 급랭할지 예측할 수 없는 형편이다.

◇정쟁 소강=민주당은 29일 "정쟁 중단 제의에 한나라당이 호응해 정쟁 중단을 선언한 것으로 평가한다"며 "휴가철에 국민을 짜증나게 하는 정쟁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한나라당도 "여권에 대한 공격 자료를 수집했으나 '정쟁거리를 제공하지 말라'는 이회창 총재의 지시에 따라 공개를 당분간 유보할 것"이라고 말해 당장 막말싸움이 일어날 공산은 없어 보인다. 또 지난주말 이 총재가 휴가에 들어갔고 금주에는 김대중 대통령과 민주당 김중권 대표의 휴가가 계획돼 있어 이같은 분위기는 8월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8월 쟁점=추경안 처리와 선거법 개정 논의를 위한 임시국회 개회 시기를 놓고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한나라당은 29일 "8월6일 임시국회를 열어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에 따른 10월 보궐선거에서의 기탁금 문제와 민생 현안을 논의하자"고 제의했다. 반면 민주당은 "추경안 심의조차 거부한 야당이 7월에 이어 8월 국회를 제안한 것은 방탄국회를 원하기 때문"이라며 "민생국회를 원한다면 8월20일을 전후해 여야 공동으로 소집하자"고 맞섰다.

또 민주당이 28일 경제상황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 야당과의 TV 토론회와 여야정 정책포럼을 제의했으나 한나라당 김만제 의장은 "야당의 정부 발목잡기를 강조하기 위한 홍보성 행사로 국민들에게 밀실 정치의 인상을 줄수 있다"며 반대했다.

8월초쯤이면 윤곽이 드러날 검찰의 언론사 수사결과도 여야 대립의 기폭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고위공직자 및 야당 사정설도 끊이지 않고 있다. 9월 정기국회와 10월 재·보선을 앞둔 여야 정국 주도권 다툼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김 대통령의 8·15 경축사를 둘러싼 입장 대립도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김 대통령이 경축사를 통해 대북관계 개선을 위한 획기적인 방안을 내놓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

박진홍기자 pjh@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