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나눠 먹는 즐거움

"밤 열두 시다

일어나거라". 어릴 적 어머니가 깨우는 소리에 깜짝 놀라 눈을 뜨면 친척들이 모여있고, 상위에는 음식이 가득 차려져 있다.

제삿날이다.

오빠들 뒤에서 졸린 눈을 비비며 서 있다 보면 제사는 끝난다.

음복을 해야 하지만 잠이 더 급해 먹는 둥 마는 둥 다시 잠에 빠져든다.

아침이 되면 제사 음식은 이미 이웃들 몫으로 접시에 담겨 있고, 그것을 한 집 한 집 나누어 주는 일은 내 차지다.

먹을 것이 많지 않던 시절 이웃들은 여러 나물이 섞인 제삿밥과 몇 점 되지 않는 고기며 반 쪽 자른 과일을 반가이 받아들며 말한다.

"잘 먹겠다고 전하거래이. 빈 그릇을 주어서 우짜노".

집에 돌아오면 음식 부스러기들만 남아 있다.

이웃에게 다 줘 우리 먹을 것은 없다고 짜증을 내면 어머니는 "음식은 나누어 먹어야 복을 받는다"라고 말하지만 그런 어머니가 불만이었다.

세월이 흘러 유학 시절 집 앞 조그만 밭뙈기를 분양받아 농사를 지은 적이 있었다.

생활비를 아낀다고 상추·근대·쑥갓 등 채소를 직접 길러서 먹었다.

그 중 호박이 자라는 것은 경이로움 그 자체였다.

씨를 심어놓으면 호박은 어느새 줄기를 뻗고 잎이 무성해진다.

자고 나면 그 무성한 잎 사이로 애호박이 보석처럼 몇 개씩 숨어 있곤 했다.

여름이 끝나 누렇게 된 늙은 호박이 밭고랑 여기 저기서 뒹굴 때쯤이다.

하루는 동료 유학생이 우리 집에 늙은 호박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찾아왔다고 했다.

아내가 출산 뒤 몸이 부었는데 늙은 호박을 먹어야 부기가 빠진다고 사정을 말하기에 밭 위치를 가르쳐 주고 필요한 만큼 따 가라고 했다.

다음 날 밭에 가 보았더니 대여섯 되는 늙은 호박이 하나도 없이 몽땅 다 사라져 버린 것이 아닌가. 내년에 종자로 쓸 호박 한 덩어리는 남겨두어야 하는데. 아내 생각에 다급한 나머지 늙은 호박을 모두 가져간 그 사람이 몹시 야속했다.

순간 머리속에서는 음식은 나누어 먹는 법이라는 어릴 적 어머니 말씀이 스쳤다.

제사 다음날 음식을 나누었던 기억과 늙은 호박에 대한 추억은 늘 같은 자리에 머물러 나눠먹는 즐거움을 일깨워 준다.

상주대교수·영문학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