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혁 계명대 교통공학과 교수는 "대구시가 버스업계의 적자를 메워줄 수 있는 정책을 제시해야 버스는 서비스가 살아나 편안한 대중교통이 될 수 있다"며 '버스노선 입찰제'와 '버스 서비스의 다양화' 등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중앙 및 지방정부가 버스업계에 보조금을 지급하기에 앞서 효율적 사용 방안부터 모색해 봐야 한다"며 "버스 경영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관리.감시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 방법으로 그는 '노선입찰제'를 제시했다.
"대구시가 노선의 소유주가 되고 각각의 노선에 대해 입찰을 붙여 사업자를 선정하는 겁니다.
운영은 민간에 맡겨 경쟁을 통한 효율성을 높이고 시의 관리.감독 기능을 좀더 강화하자는 거지요".
김 교수는 버스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합리한 버스 노선부터 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1998년의 대구시내 버스 노선 조정은 사실상 실패였다고 봅니다.
이상적이라고 하는 지선.간선제를 부분적으로 도입하기는 했지만 환승에 대한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장치를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김 교수는 장기적으로는 지선.간선제로의 전환이 불가피하겠지만 우선 그 전에 '환승요금 할인제'를 도입하거나 '환승정류장 시설'등을 제대로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와 함께 지능형교통시스템(ITS)인 '버스도착안내시스템'(BIS)을 도입해 승객들의 버스 대기 시간을 줄이고 차량운행 관리를 쉽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대구시가 추진하겠다고 밝힌 버스업계 통폐합 등 강제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해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버스 회사들마다 사무실.정비소.주유기.세차장비 등 제반 시설들을 중복 투자하고 있습니다.
구조조정을 통해 통폐합을 실시해 주주제 형태로 전환한다면 사업자의 입장에서나 사회적으로도 효과가 클 것입니다".
김 교수는 "버스운영은 어느 한 주체의 노력만으로는 이뤄질 수 없다"며 "버스사업자들은 사명의식을 가져야 하고, 시민들도 전 시민들이 빠르고 편리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협조하겠다는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회1부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