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호주서도 WMD "정보조작" 파문

미국이 전쟁명분으로 삼은 이라크 대량살상무기(WMD)의 실체가 '잘못된 정보'에따른 것일지 모른다는 논란이 미국과 영국을 넘어 연합군의 핵심일원인 호주까지확산되고 있다.

호주 일간 시드니 모닝헤럴드는 로버트 힐 국방장관이 전쟁전 수집한 정보를 전면 재검토하길 원한다고 밝힌 것으로 2일 보도했다. 힐 장관은 "수집한 정보에 결함이 있다면 그렇다고 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 그렇게 말하기는 이르다. 하지만 정보 사이드를 포함해 전체적인 그림을 그려볼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힐 장관의 발언은 정보수집에 어떤 특정한 결함이 있다는 뜻은 아니지만 정보의신뢰성에 일정정도 의문을 표시한 것이어서 곧바로 논란을 촉발시켰다.

힐 장관의 보좌관은 전면 재검토 지시를 내렸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다.

존 하워드 총리는 정보 논란에 대해 아무 언급을 하지 않았다. 알렉산더 다우너외무장관은 "모든 상황에서 정보를 재검토하지는 않는다. 흠이 있다고 여길 때만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우너 장관은 호주 정부가 이라크전쟁 전에 WMD 정보에 만족했으며, 이의 재검토를 지시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영국에서는 블레어 내각의 한 전직 각료가 대량살상무기 관련 정보의 조작가능성을 제기, 논란을 불러왔고 영국 언론들도 지난 주말 무기 증거 추적작전 실패와 관련, 정보기관 책임론을 일제히 부각시켰다.

미국에서는 폴 월포위츠 국방부 부장관이 대량살상무기를 전쟁 동기로 삼은 것은 모든 사람이 동의를 할 수 있다는 '관료주의적 이유' 때문이었다고 발언, 파문이인데 이어 시사주간지 타임과 뉴스위크가 부시 행정부 관료들이 금지무기 관련 정보가 엉터리였다는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보도, 논란을 증폭시켰다.

외신종합=여칠회기자 chilhoe@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