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가 전교조의 21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저지 연가(年暇) 투쟁과 25일 민노총 파업 참가에 엄정 대처할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전교조는 강행 태세를 보여 정면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어쩌다 우리 교단이 이 지경까지 왔는지 답답하기 그지없다.
이미 전교조 교사들이 집단적으로 연가를 내 학습권이 침해되고 학교 운영에 지장을 가져오는 것은 업무방해에 해당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고, 전 간부 6명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졌다
전교조 교사들의 수업 거부로 피해를 입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위자료를 주라는 판결도 나온 상황이다.
전교조 측이 주장하고 있듯이 연가는 법률상 부여된 교사들의 권리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 교육의 일선에서 활동하는 교사들이 집단적으로 연가를 내 교실을 떠난 채 집회에 가담하는 행위는 '업무방해이자 쟁의행위를 금지한 교원 노조법을 어긴 것'이라는 법률적 해석에 귀를 기울이는 아량을 가지는 게 옳다.
전교조는 이번 연가 집회에 서울 지역만도 4천여명이 참여하는 등 수도권 조합원의 30% 이상, 지방은 15% 이상 참가를 목표로 최소한 1만명 이상이 참가하도록 독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연가 집회를 강행할 경우 참가자 중 핵심 주동자와 적극 가담자 등은 사법 당국이 즉시 사법처리하고, 단순 가담자도 경고·견책·감봉 등의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 한다.
우리 교육의 장래를 생각할 때 한심하기 이를 데 없는 노릇이다.
사태가 여기까지 오는 데는 교육부의 책임도 적지 않다.
장관부터 뚜렷한 소신 없이 힘의 논리에 떠밀려 우왕좌왕 말 바꾸기를 거듭했으며, 집단이기주의로 떼를 쓰면 통하는 분위기를 떨치지 못해 왔다.
요구와 주장이 상충하는 집단 간의 갈등을 조정하지 못해 더 큰 혼란도 불렀다.
이제부터라도 법과 원칙이 중요한 잣대가 돼야 한다.
전교조는 절차와 규정을 어기고 학생들의 학습권을 침해하면서까지 거리로 나서는 건 곤란하다.
원래 목표인 참교육을 위해 매진하는 자세를 보여주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