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달성 다사읍 방천리 쓰레기매립장 확장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매립장 주변 지역민을 대상으로 주민지원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으나 다사 주민들이 배분된 협의위원 숫자와 협의체 가동 시기에 반발, 협의체 추진이 난항을 겪고있다.
주민지원협의체는 방천리 매립장에서 징수하는 수수료중 10%내의 대구시 출연금과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을 결정하고 지원계획을 수립하는 기구로서 다음달 시 조례에 따라 구성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는 다사 주민대표 6명과 해당 군의원 1명 등 달성 몫 7명, 달서구 3명, 서구 2명, 북구 1명 등 매립장 영향을 받는 각 지역에 협의위원 13명을 배분하고 구.군청에 20일까지 위원을 추천하도록 했다.
협의체는 주민대표 13명과 이들이 추천하는 학계 전문가 2명 등 15명으로 구성된다.
회의는 재적 위원 3분의 2 이상 참석과 참석위원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되며, 협의회 사무실은 방천리 매립장 확장 이후인 2006년 2월쯤 본격 가동한다는 것.
이에 다사 서재리 6개단지 아파트와 방천리 주민들은 "매립장으로 가장 고통을 받고 있는 다사에 배분된 협의위원 숫자가 너무 적고, 협의체도 즉각 가동돼 피해 보상이 조기에 이뤄져야 한다"며 시의 방침에 반대하는 주민집회를 오는 21일 개최하기로 했다.
현재 매립장 주변에는 '대구시는 탁상행정 그만하고 주민참여 보장하라'는 등 확장반대 현수막 10여개가 걸려 있다.
이 지역 출신 도원길 군의원은 "협의위원이 최소 10명이 확보돼야 협의체 회의를 열 수 있고 매립장 최대 피해자인 다사 주민들의 의견을 관철시킬 수 있다"며 △다사 위원 10명 배정 △시 조례 통과 즉시 협의체 가동 등을 요구했다.
대구시는 1천900억원을 투입해 현재 방천리 매립장 부지(58만㎡)를 98만㎡로 확장하고, 폐기물고형연료화(RDF) 시설 등이 들어서는 26만㎡의 클린타운을 2006년까지 조성할 계획이다.
강병서기자 kbs@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