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석굴암과 경주남산, 월성지구, 대릉원지구, 황룡사지구, 명활산성을 포함한 경주 역사유적지구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는 고도 경주.
시내 중심가에도 신라시대 고분군과 고려시대 경주읍성 등 많은 문화유적이 분포되어 있는 세계적 고적 도시이다.
경주지역내 문화재 보호구역은 1천67만8천평으로 경주시 전체면적의 2.7%를 차지하고 있다.
문화재와 문화재구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시계획상으로 2백22만5천평이 문화재보존자원지구로 지정되어 있다.
70년대 대릉원, 안압지, 황룡사지, 동부사적지 등을 발굴하고 정비한 바 있지만 일제시대와 1960년대에 사적으로 지정한 고분군, 경주읍성 등은 주택이 밀집한 시가지 내에 위치하고 있어 건축물 증.개축 등 사유재산권을 제한받고 있다.
사적지 주변의 노후된 주택은 문화재 보존관리상 많은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문화재 경관을 크게 저해하고 있다.
경주시 김상구 문화재담당은 "생활환경이 열악하고 민원이 빈발하고 있어 사유지 및 노후된 건물의 매입정비로 효율적인 문화재관리와 쏟아지는 민원 해소가 시급하다"고 말한다.
특히 시가지 중심 노후화된 주택이 밀집해 있는 노동리고분군, 경주남고루, 성동전랑지, 경주읍성, 동부사적지대, 용강동원지유적, 삼랑사지당간지주, 동해안 문무대왕릉 지역은 보존정비가 시급한 곳으로 꼽히고 있다.
나머지 중점지역을 제외한 지역은 세계문화유산인 경주역사유적지구에 포함된 황룡사지, 명활산성을 비롯하여 감은사지, 금척리 고분군, 낭산, 사천왕사지, 망덕사지, 천군리사지, 보문리사지가 있다.
▨문화재
경주지역의 지정문화재는 296점으로 전국의 3.6%, 경북도의 19.8%를 차지하고 있다.
국가지정문화재는 204점으로 전국의 7.4%, 경북도의 38.6%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북도 지정문화재는 52점으로 전국의 1.4%, 경북도의 9.2%를 차지하고 있다.
경북도 문화재자료는 40점으로 전국의 2.4%, 경북도의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주시에 분포된 국가지정문화재 204점 중 국보 31점, 보물 76점, 사적 및 명승 2점, 천연기념물 3점, 중요무형문화재 2점, 중요민속자료 16점 등으로 분류된다.
유형의 문화재와 무형의 문화재가 상존하고 있으며, 신라시대에서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종류의 문화재가 분포되어 있는 게 특징이다.
국가지정 문화재 중 주민들의 사유재산권 제한과 관련이 많은 문화재는 사적이며 아울러 보존정비도 시급한 실정이다.
국가나 도 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문화재는 1천231점. 이중 절터를 비롯한 불교유적이 368개소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고분군이 223개소, 선사유적이 159개소, 건축유적이 152개소, 유물사포지가 100개소의 순이다.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세계의 문화재는 124개국에 721건으로서 문화유산이 554건, 자연유산이 144건, 복합유산이 23건이다.
국내에는 경주 불국사.석굴암, 종묘, 해인사정경판전(1995년), 창덕궁, 수원화성(1997년),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고인돌유적(2000년)이 등록되어 있다.
이처럼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7건중 2건(불국사.석굴암,경주역사유적지구)이 경주의 문화재로서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고도이자 문화도시이다.
경주역사지구는 신라천년의 고도인 경주의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간직되어 있는 종합적 문화유산으로서 유적의 성격에 따라 5개지구로 나뉘어져 있다.
불교미술의 보고인 남산지구와 천년왕조의 궁궐터인 월성지구 신라왕릉을 비롯한 고분군 분포지역인 대릉원지구, 신라불교의 정수인 황룡사지구, 왕경방어시설의 핵심인 선성지구로 구분되어 있다.
중요민속자료 189호인 양동마을(2001년12월)이 세계문화유산에 잠정 등제된 후 본등록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시가지내 많은 지역이 문화재구역으로서 주거환경이 불량하고 노후화된 주택이 밀집하고 있으나 상당수가 매입 정비되지 않은 상태로 각종행위가 제한되고 있어 거주민들의 생활에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백상승 경주시장은 "찬란했던 천년역사 보존과 주민피해 최소화를 위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면서 대선때 양당이 공약으로 내건 문화특구지정의 필요성을 강조 했다.
경주.박준현기자 jh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