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회한 속의 '6.25' 53주년

오늘은 6.25전쟁 발발 53주년이 되는 날이다.

우리나라가 통일국가를 형성한 이래 6.25전쟁 이상으로 동족상잔의 비극을 겪은 일은 없다.

인명 피해 140여만명, 부상자 260여만명의 민족사 최대 참화였다.

그 생채기는 아직도 선명하다.

핵 개발 등으로 북한의 군사위협이 전혀 줄어들지 않고 있는 현실이 우리를 더욱 착잡하게 만든다.

6.25전쟁은 그런 점에서 잊혀져선 안될 교훈이다.

평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교과서로, 민족의 재결합이 있어야 할 당위의 거울로 우리의 뇌리에 각인되어야 한다.

그 전제는 과거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역사적 죄업에 대한 준엄한 평가다.

우리는 언젠가 민족의 이름으로 6.25전쟁 범죄자에 대한 단죄를 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의 의무다.

민족적 재앙을 가져다준 전쟁 범죄자에 대해, 생사를 불문하고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쟁 후유증을 싸안으려는 노력을 게을리 해서도 안된다.

순직한 호국영령들에 대한 살아남은 자들의 도리로, 후손의 도리로 그러하다.

수많은 이산가족의 비원을 풀어주고, 1만여명의 국군포로, 8만여명의 납북인사들에 대한 관심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전후 북한의 도발이나 공작에 희생된 486명의 납북억류자 또한 예외가 될 수 없다.

남북대화의 첫머리에는 항상 이들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표명돼야 한다.

생사를 확인 받고, 송환을 요구하는 것이 정부의 할 일이다.

그것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과 경제교류의 첫 번째 조건이기도하다.

후세들에게 6.25전쟁과 북한정권의 비인도성을 바르게 가르치는 것도 우리의 몫이다.

한 설문조사에서 초등생의 10% 정도가 6.25 전쟁이 일본.미국이 일으킨 것으로 알고 있었다는 소식은 충격적이다.

문민정부가 들어선 95년부터 '통일안보'교육이 '통일'교육으로 바뀌면서 생겨난 현상이라고 한다.

2002년 서해교전의 여섯 용사와 부상자들이 국민의 관심을 받지 못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역사를 기억하지 못하는 국민에게 미래는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되새겨야 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