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금 원하든 원치 않든 산업사회를 거쳐 지식정보사회에 살고 있다.
산업사회는 공업사회로 농경사회와는 달리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을 위해 획일적 가치와 노동력을 필요로 했다.
이 때까지도 변화의 속도가 빠르지 않았기 때문에 청소년 시기까지의 교육이 평생의 능력이 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지식정보사회는 농경사회와는 물론 산업사회와도 전혀 다른 사회다.
창의성과 자주적인 판단력, 인터넷 등 다양한 정보매체를 이용해 일과 생활 현장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적응하기 어려워진다.
▲이제 우리 사회에는 지식과 정보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누가 특정한 지식을 더 많이 아느냐가 중요하지 않게 돼 버린 느낌마저 없지 않다.
특정한 지식에 매이면 되레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얻는데 방해가 될 수도 있다.
평생 필요한 때 필요한 교육을 받지 않으면 밀리게 되는 이른바 '평생학습사회'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과연 그런 변화에 따른 새로운 비전을 갖고 있는가.
▲우리나라 고졸 이상 성인의 평생교육 참여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 조사에 따르면 25~29세 연령층의 중등교육 이수 비율이 95%로 가장 높은 반면, 35세 이상 성인 중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은 2.87%에 불과하다.
일본(2.17%).멕시코(2.78%)와는 비슷하지만 영국(23.86%).오스트레일리아(20.98%).미국(16.43%).캐나다(11.99%) 등과는 차이가 너무나 크다.
▲이 조사가 말하고 있듯이 우리나라는 정규교육 과정만 하고 난 뒤 재교육은 거의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실제 교육부의 예산 가운데 평생교육 예산 비율은 고작 0.038%(92억원)에 지나지 않아 영국(29%).미국(10.5%).일본(6.1%) 등과는 비교하기조차 민망스러울 정도다.
더구나 그 재교육의 기회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보다는 대부분이 직장에 의해 이뤄지므로 직장을 갖지 못한 경우, 특히 저학력자들에게는 그 기회와도 거리가 아득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지금 우리 사회는 재충전을 위한 평생교육을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리라고 본다.
교육 정책이 갈팡질팡 우왕좌왕해 고려 때의 사학(私學)과 조선조의 서원(書院) 융성이 일궈냈던 학문 발전과 인재 양성에도 못 미친다는 지적까지 나온 바 있지만, 다소 과장됐다 하더라도 자성해야할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조선조의 유학자 남명 조식(南冥 曺植)은 당시 학문 분야를 다양화, 실제에 쓰일 수 있는 평생교육으로 인재 교육에 나서 국가를 누란의 위기에서 구했다는 교훈도 새삼 떠올려보게 된다.
이태수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