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 시인의 '1950년대'복사본을 읽다가
그슬린 모기 한 마리의 그림자를 만난다
녀석의 다리가 붙잡았던 마지막 공기 한 올이
보인다, 여름의 전선을 따라
하루살이처럼 잉잉대며 달려들었던
한강철교의 핫바지들이 보이고
빗발치던 네이팜탄 섬광 속에
부황의 얼굴들이 보인다.
석기시대 유물발굴터 그슬린 볍씨 한 알처럼
복사기에 뛰어든 모기 한 마리의 형체가
그날 문득 햇볕 속에서 되살아났다.
신기훈 '아! 50년대'부분
플라톤은 시인을 영매자(靈媒者)라 했다.
무속인의 대나무 대신 이 시인은 전후 시집 복사본에 찍힌 모기의 실루엣에 접맥되어 6·25 고혼들이 겪은 1950년대 상황을 그리고 있다.
이 시대를 전연 살지 않았으면서도 한강 철교의 핫바지와 네이팜탄 속 부황의 얼굴들을 역사적 사생아로 각인시켜 떠올리고 있다.
민족적 아픔을 영매라는 레이더에 포착시켜 오늘에 되살리고 있다.
권기호〈시인·경북대 명예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진숙·강선우 감싼 민주당 원내수석…"전혀 문제 없다"
[사설] 민주당 '내란특별법' 발의, 이 대통령의 '협치'는 빈말이었나
"꾀병 아니었다…저혈압·호흡곤란" 김건희 여사, '휠체어 퇴원' 이유는
[홍석준 칼럼] 우물안 개구리가 나라를 흔든다
첫 회의 연 국민의힘 혁신위, "탄핵 깊이 반성, 사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