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 시인의 '1950년대'복사본을 읽다가
그슬린 모기 한 마리의 그림자를 만난다
녀석의 다리가 붙잡았던 마지막 공기 한 올이
보인다, 여름의 전선을 따라
하루살이처럼 잉잉대며 달려들었던
한강철교의 핫바지들이 보이고
빗발치던 네이팜탄 섬광 속에
부황의 얼굴들이 보인다.
석기시대 유물발굴터 그슬린 볍씨 한 알처럼
복사기에 뛰어든 모기 한 마리의 형체가
그날 문득 햇볕 속에서 되살아났다.
신기훈 '아! 50년대'부분
플라톤은 시인을 영매자(靈媒者)라 했다.
무속인의 대나무 대신 이 시인은 전후 시집 복사본에 찍힌 모기의 실루엣에 접맥되어 6·25 고혼들이 겪은 1950년대 상황을 그리고 있다.
이 시대를 전연 살지 않았으면서도 한강 철교의 핫바지와 네이팜탄 속 부황의 얼굴들을 역사적 사생아로 각인시켜 떠올리고 있다.
민족적 아픔을 영매라는 레이더에 포착시켜 오늘에 되살리고 있다.
권기호〈시인·경북대 명예교수〉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