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배아줄기세포 질병치료 길 열었다" 난치병 치료에 신기원

황우석 교수팀 또 개가...세계가 주목

국내 연구팀이 난치병 환자의 체세포를 복제하는 방식으로 치료용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는 이 배아줄기세포를 환자에게 주입할 경우 특별한 치료법이 없던 난치병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전세계 난치병 환자들에게 큰 희망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대 황우석·문신용 교수팀과 미국 피츠버그대 제럴드 섀튼 교수팀은 18명의 여성에게서 기증받은 난자 185개로 31개의 배반포기 배아를 복제하고 여기서 11개의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기증된 난자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배양실험은 한양대병원과 서울대 수의대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심의를 거쳤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적 과학저널인 '사이언스' 인터넷판에 주요 논문으로 실렸으며 황 교수팀은 이날 영국 런던에서 전세계 기자들을 대상으로 기자회견을 가졌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의 배아줄기세포 확립 성공률은 지난해 2월 배아줄기세포배양 성공을 발표할 당시의 0.4%(242개 난자 중 1개 성공)에서 약 6%로 약 15배 이상 높아졌다.

이번에 확립된 배아줄기세포 11개는 남성과 사춘기 전 여성, 폐경기 이후 여성 등 모두 11명의 환자(남성 8명, 여성 3명)의 체세포를 이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에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연구 참자가의 체세포에서 핵을 빼낸 뒤 이를 핵이 제거된 난자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배아를 복제한 뒤 줄기세포를 만들었다.

하지만 지난해의 경우는 건강한 여성 자신의 난자와 체세포를 이용해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기 때문에 실제 질환 치료와는 거리가 있었지만 이번에는 실제 환자에게 적용이 가능한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질병치료에 한발짝 다가섰다는평가를 받고 있다.

황 교수는 "11명의 연구대상 환자 중 3명은 난치성 질환이었다"면서 "특히 33세 척수질환자의 경우는 이번 연구대상 환자들 중 면역거부반응 문제를 거의 해소한 케이스"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연구성과는 남성의 체세포와 여성의 난자를 이용한 '이성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받고 있다.

동일 여성에게서 만든 배아줄기세포기술은 치료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성간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해야만 질병치료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황 교수는 "이번에 확립된 세포는 염색체 검사상 정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다잠재성 세포임을 증명했다"면서 "이 줄기세포는 피부와 각막, 근육, 뼈, 위장관, 호흡기 등으로 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