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도시근로자 소득격차 사상최대로 확대

도시 근로자 가구의 소득격차가 관련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지난 82년 이래 최대수준으로 확대됐다.

또 도시 근로자가구의 경상 및 근로소득과 소비지출 증가율이 각각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소득이 늘어나지 않으면서 소비는 위축돼 경기회복이 늦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1/4분기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도시 근로자 3천47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월평균 소득은 329만1천200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의 312만9천700원에 비해 5.2% 늘었다.

이중 비경상소득(경조소득·퇴직일시금)을 제외한 경상소득은 305만4천5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 292만8천300원보다 4.3% 늘었다

지난 1/4분기 경상소득 증가율은 외환위기 여파로 3.7% 줄었던 99년 1/4분기와 2.6% 증가에 머물렀던 같은 해 2/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지난 1/4분기의 근로소득은 월평균 277만6천900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의 271만2천900원에 비해 2.4% 늘어나는 데 그쳐 99년 1/4분기의 -5.5%, 2/4분기의 1.6%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였다.

도시 근로자가구의 소비지출은 지난 1/4분기에 월 평균 224만4천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 214만7천600원보다 4.5%가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이 증가율은 1/4분기 기준으로는 98년 -8.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와 함께 전국 가구의 31.3%가 처분가능 소득에 비해 소비가 더 많은 적자가구였으며 도시 근로자가구 가운데 적자가구의 비율은 26.3%로 나타났다.

또 소득 하위 30% 가구 가운데 적자가구의 비율은 전국 가구의 54.5%, 도시근로자 가구의 43.0% 등으로 조사됐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