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오전 5시 30분쯤 대구 남구 대명2동 제3투표소(남구보건소) 앞. 아직 투표가 시작되기까지 30분이나 남은 이른 시간임에도 신분증을 든 주민 30여 명이 줄을 서 있었다. 대다수가 60대 이상의 노·장년층이다.
이번 5·31 지방선거에서도 중장년·노년층 투표율이 청년층을 훨씬 웃도는 '노고청저(老高靑低)' 현상은 이어졌다. 지역민의 민의를 결집, 지역 살림꾼을 뽑는 데 있어 '노심(老心)'만 반영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대구 중구 남산1동 제 1투표소(명덕초교) 설희웅 투표감독관은 "지난 3회 지방선거 때보다 오전 투표율이 조금 높은 듯 해서 오후에는 젊은층 유권자가 많이 찾을 줄 알았지만 헛기대였다."고 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002년 치러진 제3회 전국 동시 지방선거에서 대구지역 20대 유권자의 투표참여율은 26.1%에 불과했다. 30대 30.7%를 비롯, ▷40대 45.8% ▷50대 61.4% ▷60대 이상 65.1%에 비하면 턱없이 낮은 투표율.
2년 뒤 치러진 제17대 총선에서도 역내 젊은층은 투표소를 외면했다. 30대 52.7%를 비롯, ▷40대 64.6% ▷50대 76.4% ▷60대 이상 73.8% 등의 투표율을 기록했으나 20대는 42.9%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하세헌 교수는 "우리 정치가 젊은 세대들에게 희망을 주지 않기 때문에 갈수록 젊은이들이 투표소와 멀어지는 것"이라며, "젊은 사람들도 청년실업 등 자신만의 고민을 투표를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계명대 김옥준 교수(정치외교학)는 "정치가 매력 있고 재미나면 젊은층의 관심을 끌 수 있다."며 "지역구도를 타파하는 것이 젊은층을 투표소로 끌어올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5·31 지방선거 대구지역 연령대별 선거인수
연령 선거인수(비율)
19세 33,441(1.8%)
20대 390,362(20.7%)
30대 436,209(23.1%)
40대 442,711(23.5%)
50대 287,311(15.2%)
60대이상 295,009(16.6%)
전체 1,885,043
댓글 많은 뉴스
"尹 지지율 46% 나와…2030 지지율도 40%대 ↑"
전용기 "내란선동 가짜뉴스 퍼나르면 일반인도 처벌" 국힘 "도련님, 카톡은 찢지 말아주세요"
일반인 카톡 검열 논란에 여야 MZ 설전…"공산당식 통제 vs. 불법 방치"
박수현 "카톡 검열이 국민 겁박? 음주단속은 일상생활 검열인가"
국민의힘 "유튜버 고발·카톡 검열…민주당의 '입틀막'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