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고교의 학력 저하가 심각하다. 2010학년도 입시가 진행 중이지만 서울 명문대 진학률이 최악이라는 지난해보다 더욱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중학생의 외지 진학은 점점 늘고 있다. 올해 대구에서 외지의 자사고와 자율학교로 빠져나간 중 3학년생은 300명 이상일 것으로 추산된다. 대부분 각 학교의 최우수 자원들이다. 이는 3년 뒤 곧바로 명문대 진학률로 이어져 대구 교육의 추락은 가속될 전망이다.
이러한 현상은 급변하는 대학입시 전형에 각 고교들이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안한 수험생과 학부모가 사교육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학교를 믿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정부가 입학사정관제를 더욱 강화하고, 각 대학도 수시 모집을 늘리면서 이러한 위기감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정보 부족과 독특한 스펙을 쌓기가 쉽지 않은 여건을 감안하면 앞으로 명문대 진학이 지방 학생들에게 점점 불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대구 고교의 학력 저하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서울대 합격자 수는 2000학년도 527명을 기점으로 매년 줄었다. 2009학년도에는 143명으로 2000학년도 대비, 27%였다. 신입생 점유율도 2000학년도 12%에서 올해는 5% 수준, 그나마 내년도는 5%도 되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서울을 제외하고는 전국 최고 수준의 교육도시라는 위상이 10년도 안 돼 끝없이 추락하고 있는 것이다.
수성구 일부 학교는 과거 눈부신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앞으로 입학사정관제나 수시 확대의 대입 시스템에서는 힘들 것임이 최근의 성적에서 증명됐다.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든 시대가 된 것이다. 이에 대한 대책이나 해답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너무 확실한 방안이 있는 것이 문제다. 그 답은 학교가 변하는 것이다. 교장과 교사, 나아가 교육청의 교육 정책이 변하는 것이다. 우수 자원이 몰리는 특목고를 제외해도 좋은 성적을 거둔 일반 학교도 많다. 학교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교사와 학생이 일체가 돼 면학 분위기를 조성한 곳이다.
대구의 학교도 변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교육청이 앞장서 문제점을 낱낱이 분석해 지역별, 학교별로 적합한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또 학교도 벼랑 끝이라는 심정으로 교수법이나 학력 신장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그것만이 대구 교육을 살릴 수 있는 길이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제대로 된 공항 만들어야…군위 우보에 TK신공항 건설 방안도 검토"
대구시 '재가노인돌봄통합' 반발 확산…전국 노인단체 공동성명·릴레이 1인 시위
최재영 "벌 받겠다…내가 기소되면 尹·김건희 기소 영향 미칠 것"
尹, 한동훈 패싱 與 지도·중진 ‘번개만찬’…“尹-韓 앙금 여전” 뒷말
정부, 지방의료 6천억 투입…지방도 서울 수준으로 의료서비스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