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최부잣집으로 시집온 설아. 그 땅은 끝 간 데가 없고, 곳간에는 쌀섬이 그득하며 집은 99칸이나 된다는 부잣집. 그러나 시집 온 첫날 시어머니는 거친 무명옷을 내놓고, 검소할 것을 강조한다. '만석 이상 재산은 사회에 환원하라' '흉년에는 남의 논밭을 매입하지 마라' '최씨 가문 며느리는 시집온 뒤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 '사방 100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설아는 시댁의 모습에서 참된 부자의 모습을 깨닫고, 후에 그 역시 며느리에게 이렇게 전한다. "재물은 분뇨와 같아서 한 곳에 모아두면 악취가 나 견딜 수 없지만, 사방에 골고루 흩뿌리면 좋은 거름이 되느니라."
그렇고 그런 여행 서적에 싫증이 났다면 이런 책을 골라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이야기 여행'이라는 출판 개념에 충실하게 여행 안내서를 겸한 인문지리서에 가깝다. 작가는 안동을 소개하면서 간고등어와 헛제사밥을 얘기하고, 죽어서도 의상대사를 지키고자 했던 한 아씨를 통해 영주 부석사를 얘기한다. 영양 주실마을에서는 두 형제 시인을 만나고 봉화 닭실마을에서는 명당보다 인간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는 진리를 배운다. 국내 유일 여행작가 모임인 (사)한국여행작가협회가 지은 만큼 해당 지역의 여행 정보도 충실하다. 255쪽, 1만2천원.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