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객들에게 받을 축의금은 1인당 5만원 정도?"
결혼을 앞둔 미혼남녀들은 자신의 결혼식 때 하객들로부터 축의금을 5만원 정도 받는 것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결혼정보회사 비에나래가 재혼전문사이트 온리유와 공동으로 전국의 초혼 및 재혼 희망 20~40대 미혼남녀 548명(남녀 각 274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본인의 결혼식 때 받고싶은 축의금 수준'에 대해 남성 응답자의 59.1%와 여성의 70.1%가 '5만원'으로 답해 각각 과반수를 차지했다. '본인이 친구, 동료 등 친지들 결혼식 때 내는 축의금의 수준'도 남녀 모두 '5만원'(남 61.0%, 여 48.5%)이 가장 많았다.
'결혼식 때 하객들이 주고받는 축의금의 의미'에 대해서는 남성은 '의리상', 여성은 '관계유지상' 낸다는 의미가 큰 것으로 조사돼 남녀간에 인식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상호 친분 확인'(40.9%)의 의미가 가장 크다고 답했고, '서로 주고받는 것'(28.5%)과 '축하마음의 크기'(25.9%) 등이 뒤따랐다. 이에 반해 여성은 '서로 주고받는 것'(43.1%)과 '상호친분 확인'(41.6%) 등의 의미가 강하다는 비중이 높고, '축하마음의 크기'(8.8%)가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결혼식 참석은 누구에게나 부담스러운 일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취업'인사포털사이트 인크루트가 20~30대 직장인 6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장인 89.7%는 결혼식 참석에 부담을 느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경제적인 부담'이 75.3%(546명)을 첫째로 꼽았으며, 시간적 부담(15.4%), 심리적 부담(9.3%) 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이들이 축의금으로 지출하는 비용은 평균 5만4천원으로 집계됐다.
가장 참석하기 부담스러운 결혼식으로는 과반수 이상인 68.7%가 직장상사 및 동료(37.4%), 거래처 관계자(31.3%)라고 답하면서 업무에 관계된 사람들을 꼽았다. 참석이 부담스러울 때는 상당수 직장인들이 금전적 방법으로 체면치레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축의금만 보낸다'(42.9%)는 답이 가장 많았고, '그래도 참석한다'(39.6%)는 이들도 많았다. 당사자와의 원만한 관계를 위해 불편하더라도 참석한다는 것. 아예 '불참한다'(16.5%)는 의견은 비교적 소수였다.
한윤조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