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12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조 심사평

주제의 깊이·시적 긴장 모두 제대로 구현

심사위원 이정환(시조시인)
심사위원 이정환(시조시인)

화려한 등단의 길인 신춘문예에 사설시조가 당선된 적은 한 번 있다. 그러나 단시조가 당선된 예는 없다. 특기할 점은 응모작들 중에 단시조 편수가 의외로 적다는 사실이다. 이는 시조의 본령에 충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도 되고, 역량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연시조여야 한다는 생각에 붙들린 측면도 있다. 단시조 한 편에 못 담을 소재는 없다. 빼어난 단시조가 신춘문예 당선작으로 나올 때 시조는 새로운 물꼬를 트는 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최종심에서 거론된 이로는 심순정, 이한, 김석이 제씨였다. 심순정 씨의 '꽃의 부호'는 감각과 새로움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메시지의 전달이 명쾌하지 못하였다. 내공은 쌓였는데 비해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데 실패하고 있는 점을 면밀히 새겨보아야 할 것이다. 이한 씨의 '운림산방에서' 외 네 편의 작품들은 주목할 만하였다. 모두 고른 목소리를 유지했고 참신한 감각과 주제 구현 능력이 돋보였다. 그런 까닭에 오랫동안 고심하게 하였다. 그러나 개성적이고 새롭고 산뜻한 느낌을 주는 강렬한 에스프리에 비해 작품 곳곳에서 음보의 파탄을 보인 것이 아쉬웠다. 시조는 엄연한 정형시이므로 기율 곧 정형률을 잘 숙지하고 형식을 자유자재로 부리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하여 김석이 씨의 '비브라토'를 당선작으로 뽑는다. 신선한 제목에서 비롯된 시적 긴장감이 네 수 전편에 고르게 깔려 있다. 음의 떨림 현상인 '비브라토'라는 음악 용어에 착안하여 결국 사람살이가 어떠해야 함을 구체적이면서도 명징하게 육화한 '비브라토'는 '물갈퀴, 자동차 바퀴, 바람의 손가락들'을 동원하여 주제를 탄력적으로 잘 구현하고 있고, 끝수에서 인생에 대한 품격 높은 자세를 보인다. '짓눌려야 짓물러야 풀어지는 소리 가닥'이라는 대목에서 고개를 절로 끄떡이게 하는 깊이를 획득하고 있는 점을 특히 눈여겨볼 일이다.

이 영광에 값하는 혼신의 정진이 있기를 바란다.

심사위원 이정환(시조시인)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