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외국인학교 설립 계획이 2016년 8월 6일로 애초보다 2년 미뤄졌다. 외국인 입학생 수 확보가 어려워 개교일자를 2년 연기해달라는 포항시와 포스코교육재단의 요청을 경북도교육청이 받아들인 것이다.
하지만 경북도교육청이 착공(2015년) 등 공사진행을 연기신청 승인조건으로 내걸어, 포항시와 포스코교육재단이 지금처럼 학생모집 등을 이유로 넋을 놓고 있을 수 없게 됐다. 착공까지는 시간을 벌었지만, 결국 사업 추진과 무산을 두고 양자택일을 해야 할 상황이 된 셈이다.
경북도교육청의 승인에 따라 포항시는 우선 이달 내로 산업통상자원부에 외국인학교 건립계획 변경신청을 접수하고, 연말까지 경북지역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입학대상자 수요조사'를 진행해 학교 규모를 정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늦어도 오는 2015년 3월에는 공사에 착공해 개교시기를 맞출 계획이지만, 학교를 운영할 포스코교육재단은 학생수급 문제로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특히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 시가 추진하고 있는 외국인 기업유치가 무산될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한 학교설립도 힘들어질 것이라는 게 포스코교육재단의 판단이다.
포스코교육재단의 한 관계자는 "포항시가 향후 5년간 운영에 따른 적자 분을 보전해준다고 했지만, 그 예상비용이 100억원에 달하는데다, 5년 이후 적자 분도 걱정이다. 근본적인 학생수급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학교운영에 따른 재단 이미지만 실추될 게 뻔하다"며 "착공이 예정된 2015년까지 학생수급 상황을 지켜보며(운영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포항시는 학교설립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번 개교 연기를 통해 학교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할 시간을 벌었고, 국'도비(80억원)도 이미 확보돼 있기 때문에 포스코교육재단의 의지만 있다면 학교설립은 순항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포항시는 외국인 학생모집의 경우 포항경제자유구역과 블루밸리, 영천의 미국 보잉사의 항공전자장비센터 등이 모두 마무리되면 탄력적으로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국인 모집은 경북 동부지역에서 해외로 나갔다 귀국한 학생들을 통해 해결할 계획이다.
포항과 경주의 초'중'고등학생(2011년 기준) 가운데 외국에서 귀국한 학생은 112명이며, 이 가운데 입학이 가능한 3년 이상 외국거주자는 12명이다. 포항시는 6, 7년만 학교를 운영한다면 매년 10명씩 모두 70명의 내국인 학생을 확보할 수 있어 학생모집에는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다.
포항시 한 관계자는 "학교운영에 따른 적자 분(5년간)이 6억원가량 추정됐다가 100억원으로 갑자기 늘어난 것은 포스코교육재단이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뒀기 때문으로 보인다"며"외국인 기업유치 추진상황과 내국인 가운데 입학요건이 되는 학생 수를 감안해보면 학교 운영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포항'박승혁기자 psh@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