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에세이 산책] 눈맞춤

마르티니의 '사랑의 기쁨'(plaisir d'amour) 영어 버전에는 이런 가사가 있다.

'Your eyes kissed mine.'(그대가 나와 눈맞춤하고)

나는 이 눈맞춤에 아픈 기억이 있다. 초등학교 3학년쯤이었을까. 등교하자마자 민수가 씩씩거리며 나를 철봉 앞으로 나오라고 말했다. 나는 잘못도 없이 가슴이 쿵쾅쿵쾅 뛰었다. 왜 그래, 무슨 일인데? 나오라면 나와. 쬐그만 게 말이 많아!

나는 겁에 질려 머뭇머뭇 철봉 앞으로 나갔다. 사이좋게 지내던 짝꿍이었는데 무슨 일로 화가 났는지 알 수 없었다. 곧 이어 민수가 큰 걸음으로 내게 다가왔다.

"너 우리 엄마 기생이라고 했다며?"

"기생? 너희 엄마 기생이야?"

민수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았다. 주먹으로 나의 얼굴을 힘껏 갈겼다. 나는 코피를 흘리며 쓰러졌고, 아이들이 우리를 에워싸는 것이 보였다.

며칠 후, 담임선생님은 민수의 서울 전학을 알렸다. 철봉 사건 이후 내내 결석하다가 반 친구들에게 작별 인사를 하러 온 것이었다. 나는 철봉 옆에서 민수가 나올 때까지 기다렸다. 당시 나는 기생이라는 걸 영화배우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던 터라 민수가 화난 이유를 더욱 이해할 수 없었다. 너희 엄마는 정말 예쁘다고, 기생인 줄은 몰랐다고, 위로인지 해명인지 말해주고 싶었다. 그러나 민수는 애써 내 눈을 피했다. 차갑게 등을 돌려 나를 지나쳐 가고 말았다.

어른이 되어 나는 한 외국인으로부터 눈맞춤에 관한 질문을 받았다.

"한국인은 왜 말을 할 때 상대방의 눈을 똑바로 안 보지요?"

"존경심을 나타내기 위해 시선을 아래로 보내는 거예요."

"그럼 건배를 할 때는 왜 상대편의 눈을 안 보고 술잔을 보나요?"

"나를 낮추기 위해 술잔의 높이를 조절하다보니 잔을 보게 되지 않나 싶네요."

"오호! 이렇게, 이렇게 말이지요?"

술잔을 짓궂게 맞대며 높이를 낮추는 것을 보다가 오래 전 애써 내 눈을 피하던 민수가 생각났다. "너한테 제일 창피했어. "어렵게 뱉은 민수의 마지막 말이 가슴에 남아 있었다.

엄마가 기생이었든 아니었든 아이들한테 무슨 상관이 있었으랴. 그러나 민수에게는 그것이 씻을 수 없는 수치요, 상처였던 모양이었다. 나 또한 아픔이었음을 그 아이는 알까.

소진/에세이 아카데미 원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