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을 이용한 농업, 편리하지만 넘어야 할 산도 많고 진입장벽도 높습니다."
경북 안동에서 청년 농부로 활동하고 있는 김일열(32) 씨는 '장비를 이용한 농업은 양날의 칼과 같다'고 했다.
그는 "농업용으로 드론을 활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기본적인 것은 사람이 하던 농약·비료 등 살포작업을 원격으로 시행하는 것"이라며 "육체적으로 편하고 시간적으로도 작업을 빨리 할 수 있지만, 장비가 워낙 고가이다 보니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고 했다.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농업용 드론이 유통되고 있다. 500만원짜리 작은 드론에서부터 5억원에 이르는 무인헬기까지 그 규모와 가격도 다양하다.
가장 대중적으로 보급된 기종은 2천만원대의 중국산 드론이다. 그는 드론 시장의 가장 선두 주자는 중국이라고 했다.
김 씨는 "개인적인 견해지만 농업용 드론은 아직 국산보다 중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은 것 같다"며 "국산 농업용 드론이 1천만원이면 중국산은 2천만원인데 편의적인 기능이 더 앞서는 데다 부품 수급까지 쉬워 대부분 비싸더라도 중국산을 찾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농업용 드론의 활용은 논·밭농사를 짓는 농가에 더 효과적이다.
그는 "1만㎡에 농약을 살포한다고 가정했을 때 드론을 활용하면 10~15분이면 작업이 끝 나는데 사람이 손으로 농약을 살포할 때는 40~50분은 소요된다"며 "가장 바쁜 농번기에 작업할 때는 오전 5시 30분부터 오전 10시쯤까지 4시간 30분 만에 10만㎡ 규모의 논에 농약을 살포한 적도 있었다. 사람이라면 며칠이 걸려도 다 못한다"고 했다.
드론 활용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같은 속도로 같은 양을 살포할 수 있기 때문에 농약 소모가 더 적다는 것이다. 건강과 관련된 측면에서도 농민이 직접 농약과 접촉하지 않는 상황에서 살포가 이뤄지기 때문에 안전하다.
문제는 높은 장비 구입비다.
드론을 활용한 농약살포는 논농사와 밭농사를 짓는 농가에서 효율적인데 이들 대부분이 영소농으로 연간 수익보다 비싼 2천만원대 드론을 사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김 씨는 "자동차 보험처럼 드론도 보험이 있지만, 기본 보장보험만 몇십만원이나 되고 자차 보험을 들 경우에는 드론 가격에 따라 연간 수백만원을 보험료로 내야 한다"며 "이 때문 대부분 기본 보험만 가입하고 자차는 들지 못하는데 생각보다 조작실수로 인한 추락사고 많은 편"이라고 했다.
실제로 김 씨도 지난 2년 동안 4번의 추락 사고를 겪었고, 주변 지인도 드론이 물에 떨어져 300만원가량의 수리비를 지출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지자체가 보유한 드론을 임대해 농사에 활용하고 싶어도 일반인은 쉽지 않다는 게 그의 얘기다.
고령화된 농촌에서 드론을 조작할 수 있는 인물을 찾기도 쉽지 않다. 드론을 띄워 자신의 밭에 작업할 경우에는 자격증이 필요하지 않지만 다른 농가의 밭에서 작업해 줄 경우에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발급하는 '초경량비행장치 조정자 자격증'도 보유해야 한다.
김 씨는 "지역별로 다르지만 보통 150만~300만원가량의 학원비를 지급해야 초경량비행장치 조정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어 드론을 조작할 수 있는 사람을 찾기도 쉽지 않다"며 "또 현재 일부 농약과 비료에 대해서는 농업 보조금이 지원되지만 드론 전용 약재에 대해서는 지원이 안 되는데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