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무원 5명 중 1명은 간접적인 성희롱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故(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지난해 7월 사망한 직후인 8월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서울시 공무원 6천3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데 이어 수개월 후인 최근 발표한 '성차별·성희롱 인식조사' 결과이다.
이에 따르면 서울시 공무원의 21.1%에 해당하는 1천351명이 '최근 1년 내 조직 내 성희롱을 간접경험했다'고 답했다.
그런데 공무원 성별을 나눠 답변 비율을 봤더니, 여성 직원의 경우 34.4%가, 남성 직원은 12.7%가 간접 성희롱을 당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유형은 '외모에 대한 성적 비유나 평가'(54.8%)가 가장 많았고, 이어 '음담패설 및 성적농담'(43.2%), '신체접촉이나 강요'(35.7%) 순이었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은 남녀 구분 없이 성희롱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성적 농담이나 신체 접촉을 친밀감의 표시로 여기는 조직문화'(56.3%)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러나 두번째 원인부터는 남녀 직원들의 응답이 상이했다.
여성 직원들의 경우 두번째 원인으로 '동등한 업무수행능력을 지닌 동료로 여기지 않는 성차별 문화'(14.6%)를 지적했고, 남성 직원들은 두번째 원인으로 '퇴근 후 술자리, 노래방 등으로 이어지는 회식문화'(18.6%)를 언급했다.
5명 중 1명이나 간접 성희롱을 경험했지만, 이후 문제시되는데 이어 서울시 차원의 징계 등이 이뤄지지 않은 이유도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났다는 분석이다.
간접 성희롱을 당한 직원의 55.3%는 사건 발생 후 침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그 이유를 두고 '직접 목격한 일이 아니기 때문에'(39.7%), '문제를 제기해도 해결될 것 같지 않아서'(25.8%), '개입할 정도로 친밀한 사이가 아니어서'(25.1%) 등의 순으로 답했다.
아울러 서울시 공무원들은 성희롱 예방 및 근절을 위한 방안으로 '처벌수위 강화'(23.8%), '지속적인 교육 활성화'(11.1%), '피해자 신상보호'(10.4%) 등의 순으로 시급하다고 의견을 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문수, 대선 양자 대결서 앞섰다 46.4%…이재명 41.8% [영상]
이재명 "이념·진영이 밥 먹여주지 않아…지지율 겸허히 수용"
지지율 뒤집힌 민주 "잘못된 여론조사로 호도"… 조사업체 관리강화 법안 발의
尹, 옥중 서신 "설 다가오니 국민 여러분 생각…작년보다 나은 한해 되시길"
권성동 "선관위 불신·시스템 취약…선거 시스템 전반 살펴볼 필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