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련 전 대구시의원과 임미애 전 경북도의원이 침체에 빠진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잔다르크 역할론'으로 회자되고 있어 주목된다.
'잔다르크'는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애용한 것으로 민주당이 어려울때 구당의 신념을 담아 '추다르크'란 별명으로 활동하면서 유명해 졌다. 이에 험지로 꼽히는 TK 지역에서 두 명의 여성 정치인이 '추다르크' 바통을 이어받을지 주목되고 있다.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이 전 시의원과 임 전 도의원 두 사람 모두 최고위원 도전을 통해 지역 역량을 강화해달라는 요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낙후 지역에서 광역 의원을 역임한 만큼 여심을 중심으로 지지 기반을 끌어 올릴 수 있을 거란 기대에서다.
이 전 시의원은 의원 생활 중 비리 공무원들에 대한 비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친 바 있다. 집행부(대구시청) 비판에 인상적인 활동을 벌인 그에게 '중앙당 최고위원이 되면 윤석열 정부 견제 기능도 충실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모여 들었다.
하지만 18일 마감된 민주당 중앙당 전당대회 출마자 접수 결과 이 전 시의원은 등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고위원 출마를 끝까지 고심하기는 했으나 시당위원장 출마 쪽으로 선회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전 시의원은 "지역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 험지에서 내는 목소리가 귀하게 쓰여야 한다"며 "수많은 고민을 통해 지역의 목소리를 듣고 중앙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던 중 당원들의 요구가 있어 지역의 목소리를 더 잘 전할 수 있는 시당위원장직 도전을 두고 계속 소통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경북도지사 후보로 출마했던 임 전 도의원도 최고위원 출마설이 흘러나온 바 있다. 그는 현직 이철우 도지사를 상대로 22%의 득표율을 받으면서 패했으나 도전 자체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2006년 의성군의원으로 처음 당선된 뒤 재선 가도를 달린 그는 2018년 처음으로 광역의원에 당선됐다. 당시 '경북지역 첫 여성 민주당 도의원'이라는 타이틀도 얻었다.
최근까지 일부 당원들은 '온라인 서명운동'을 통해 임 전 도의원의 최고위원 출마를 적극 독려했다. 험지인 경북에서 숱한 성과를 내온 임 전 도의원이야말로 민주당 세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란 기대에서다.
하지만 그도 최고위원보다는 현실적인 대안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적 조직과 돈이 많이 들어가는 최고위원보다는 도당위원장을 하면서 차근차근 지역 민주당 진형을 다지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임 전 도의원은 최근 매일신문 기자에게 "현재 경북도당 위원장을 준비하고 있어 최고위원 출마는 무리가 있다"며 "순리대로 차근차근 바닥을 다지며 정치 활동을 넓혀가고 싶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홍준표 "탄핵 기각되면 대구시장 계속…역점적으로 사업 추진"
전한길 "쓰레기"라 한 친구는 '조국 수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