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찰 특수본, 서울경찰청 등 8곳 압수수색…첫 강제수사

'이태원 참사' 시민들 다급한 신고 받고도 부실 대응

2일 오후 서울 용산경찰서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 관계자가 청사에서 나오고 있다.
2일 오후 서울 용산경찰서에서 압수수색을 마친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 관계자가 청사에서 나오고 있다.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하는 특수본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서울시소방재난본부 서울종합방재센터, 용산소방서, 서울교통공사, 다산콜센터, 이태원역 등에 수사 인력을 보내 참사 당일 112 신고 관련 자료와 핼러윈 경비 계획 문건 등을 압수수색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 특별수사본부가 2일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 8곳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섰다. 경찰이 이번 참사와 관련해 강제수사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수본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서울시소방재난본부 서울종합방재센터, 용산소방서, 서울교통공사, 다산콜센터, 이태원역 등에 수사 인력을 보냈다.

특수본은 서울경찰청 112치안종합상황실과 용산경찰서 112치안상황실, 용산경찰서 정보과 등을 상대로 참사 당시 112신고 관련 자료와 핼러윈 경비 계획 문건 등을 확보할 계획이다.

사고 발생 4시간 전부터 시민들의 다급한 신고 전화를 받고도 적극적인 조치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해 담당 경찰관을 비롯해 상황 보고를 받은 지휘관과 근무자들의 조치가 적절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주요 과제로 떠오른다.

참사 당일 112신고를 기록한 녹취록에 따르면 오후 10시 15분 참사가 벌어지기 4시간 전인 오후 6시 34분부터 4분 전인 오후 10시 11분까지 모두 11건의 신고가 전화가 접수됐고, 이 가운데 '압사'라는 단어만 13차례 언급됐다. 경찰은 이 가운데 4건만 현장으로 출동하는 등 안일하게 대응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수본은 11건의 신고를 받고도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가 인파 해산이나 경력 증원 등 추가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이유를 확인할 계획이다. 용산경찰서가 핼러윈을 앞두고 기동대 경력 지원을 요청했지만 서울경찰청이 거부했다는 의혹도 규명 대상이다.

용산구청의 구청장실과 안전재난과 등 관련부서도 수사 대상이다. 용산구청은 참사 사흘 전인 지난달 26일 경찰서, 이태원역 등과 '핼러윈 안전대책 간담회'를 갖고도 대규모 인파가 모일 것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지 않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경찰은 용산소방서와 서울종합방재센터 서울소방재난본부, 다산콜센터 상황실을 통해서도 참사 관련 신고 내역 등을 확보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